
최근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서 총 17억 달러가 유출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11월 3일부터 7일까지의 기간 동안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는 약 12억 2,000만 달러, 이더리움 현물 ETF에서는 5억 80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양대 ETF의 주간 순유출액은 합산하여 17억 2,000만 달러에 달하며, 이는 기록적으로 세 번째로 큰 규모로 평가된다.
크립토온체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의 주기영 대표는 블랙록의 IBIT ETF 단일 상품에서만 5억 7,000만 달러가 유출된 사실을 강조했다. 이는 최근 9개월 동안 가장 큰 유출액으로, 연말에 가까워짐에 따라 투자자들이 수익 실현과 세금 전략 조정을 위해 매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대규모 유출은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을 불러오고 있고,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불안감을 조성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솔라나(SOL)와 같은 일부 알트코인에서는 자금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 같은 기간 동안 솔라나 현물 ETF는 1억 3,700만 달러가 순유입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비트와이즈의 BSOL ETF가 1억 2,700만 달러로 대부분의 자금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최근에 높은 성과를 기록한 알트코인들이 선택적인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자금의 흐름이 시장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온체인 데이터에서는 대형 고래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대량으로 매집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 이러한 매집은 BTC 가격을 10만 달러 이상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결국,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에서의 대규모 유출은 단기적인 변동성을 더욱 부각시키겠지만, 특정 알트코인에 대한 자금 유입은 투자자들이 선별적인 매수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시장의 전반적인 방향성을 평가하는 것 외에도 개별 종목의 수급 상황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