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 시장의 부정적 분위기가 지속됨에 따라 최근 2주 동안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기반 상장지수상품(ETP)에서 대규모 자금 유출이 발생하였다. 영국의 자산운용사 코인셰어스는 최신 주간 보고서를 통해, 지난주 ETP에서 약 11억 7,000만 달러, 즉 1조 5,234억 원이 유출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직전 주의 3억 6,000만 달러, 약 4,680억 원에 비해 약 70%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자금 유출이기도 하다.
코인셰어스의 리서치 총괄인 제임스 버터필은 이 같은 매도세가 지난 10일 발생한 ‘플래시 크래시’ 이후 지속되는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12월에 예고된 미국의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 또한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하였다.
보고에 따르면, ETP의 거래량은 여전히 높은 수준인 430억 달러, 약 56조 1,900억 원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셧다운 회피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일었던 목요일에는 일부 회복세를 보였지만, 다음 날에는 재차 투자자들의 낙관론이 사라지면서 자금 유출이 다시 진행되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비트코인(BTC) 기반 ETP의 경우 지난주 9억 3,200만 달러, 약 1조 2,350억 원이 빠져나가며 전체 유출 규모 중 가장 큰 피해를 보았다. 이는 직전 주 9억 4,600만 달러, 약 1조 2,604억 원 수준과 유사한 규모이다. 이더리움(ETH) 역시 매도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지난주에 4억 3,800만 달러, 약 5,694억 원의 대규모 유출을 경험하였다. 이전 주에는 5,700만 달러의 순유입이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시장 심리가 극도로 위축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전반적인 시장 수치는 암호화폐에 대한 매도 압력이 여전히 강력하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시가총액 상위 종목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서 지속적인 자금 이탈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은, 투자자 심리가 전혀 회복되지 않았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부정적 기류는 앞으로의 암호화폐 투자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