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가격이 거래소 상장 전략을 이끌다…케이원 리서치, 한국 거래소 분석 결과 발표

[email protected]



최근 케이원 리서치(K1 Research)는 클라인 랩스(Klein Labs)와 협력하여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비트코인(BTC) 가격에 따라 상장 전략을 조정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분석 결과,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할 때 한국 내 거래소들이 신규 토큰 상장을 활발히 진행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원, 빗썸, 업비트 등 주요 거래소들은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에 따라 상장 빈도를 증가시키며, 이들 간의 상장 전략에도 차별성이 목격되었다.

보고서는 2024년 1월부터 2025년 7월까지 한국 거래소에서 이뤄진 상장 데이터를 추적한 결과, 비트코인 월평균 가격이 1만 달러 상승할 경우 상장 수가 평균 1.19건 증가한다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시장 심리와 가격의 변동이 거래소의 상장 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드러났다. 그러나 원화 거래량이나 정책 이벤트는 상장 건수와의 상관관계가 낮다는 분석이 나왔으며, 이는 거래소들이 실시간 유동성 지표보다 시장의 감정적 반응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거래소별 전략을 살펴보면, 코인원이 비트코인 가격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며 상장 수량을 신속하게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 같은 가격 상승에 대해 코인원은 업비트나 빗썸보다 더 큰 상장 증가 추세를 보이며, 이는 시장 접근성 향상 및 소규모 프로젝트 수용 전략과 관련이 깊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했던 2025년 5월, 코인원은 월 상장 수에서 최고치를 기록하며 그 확장을 지속적으로 이어갔다. 이러한 전략은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고 타 거래소보다 선제적인 프로젝트 확보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빗썸은 강세장에서는 상장 속도를 대폭 증가시키는 반면, 하락장에서는 보수적인 자세로 전환하는 양극화된 상장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 결과, 변동성은 존재하지만 강세장 초기에는 다수의 알트코인을 상장하여 시장 지배력을 신속하게 확대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에 반해 업비트는 시장 검증 후에 상장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으며, 가격 급등이나 호재보다 중장기적인 프로젝트 안정성을 중요시한다. 이는 실제로 상장 초기의 수익률에서는 코인원과 빗썸이 두각을 나타내지만, 30일차 장기 수익률에서는 업비트의 프로젝트들이 더 좋은 결과를 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익률 측면에서의 ‘브리지 효과’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코인원과 빗썸에서 먼저 상장된 프로젝트가 이후 업비트로 이어지며 유동성과 가격 상승 흐름을 창출했으며, 이는 거래소 간의 전략적 확산 경로와 직결된다. 특히 코인원은 EIGEN, ETHFI, ENS와 같은 글로벌 알트코인을 조기에 상장하여 후속 상장에서의 기대 수익률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결과적으로 코인원에서 초기 상장된 프로젝트의 평균 수익률은 다른 거래소와 비교했을 때 유리한 흐름을 보였고, 시장 신뢰도 측면에서도 차별적인 성과를 달성하였다.

시장 구조를 분석해보면 비트코인 가격이 상장 결정에 있어 핵심적인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 더욱 두드러진다. 상장 심사의 객관성이 강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주요 거래소는 ‘가격이 곧 시장 신호’라는 환경에 놓여 있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규제 이벤트 및 정책 타이밍에 대한 거래소들의 반응이 상이한 가운데, BTC 가격 외에는 상장 건수에 영향을 미친 명확한 변수가 부족하다는 점은 암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