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최근 청산 사태 후 반등에 실패하면서 추가 하락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단기 지표들이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거래자 심리도 위축되어 기술적 조정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은 약 11만 1,000달러(약 1억 5,429만 원) 부근에 위치하며, 이는 이달 초 대규모 매도 물량이 쏟아진 이후 나타난 보합 흐름으로 해석된다. 시장의 낙관적인 분위기는 많이 사라진 상태이며, 주요 지지선인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근처의 가격은 200일 이동평균선에 해당, 기술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지점으로 평가된다.
일간 차트를 분석하면, 비트코인이 이 지지선을 지키지 못할 경우 10만 1,000달러(약 1억 4,039만 원)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는 중장기 하락 채널의 하단선 구간에 해당한다. 반대로, 저항선인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를 강하게 돌파할 경우 기존 상승 추세가 다시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상대강도지수(RSI)가 42 수준에 머물고 있어 매수세와 매도세 모두 불확실한 관망 국면임을 나타내고 있다.
4시간 차트에서는 11만 달러에서 11만 6,000달러 사이의 구간에서 비트코인이 강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이 가격대 아래로 여러 번 하락했지만 매수세가 이어져 버티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가격대에 대한 반복적인 테스트는 지지선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경고도 존재한다. RSI 역시 40 수준에 달해 현재 시장의 균형 상태가 뚜렷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거래량이나 거래 의지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며, 단기 하락이 더욱 가속화될 위험이 크다.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부정적인 시그널이 나타나고 있다. 주요 거래소에서의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이 최근 하락장 이후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는 지난 폭락장에서 강제 청산된 투자자들이 여전히 포지션 재진입을 꺼리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레버리지 축소는 투자심리가 위축되었음을 나타내며, 동시에 시장이 바닥을 다지는 과정일 수도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결국 비트코인이 다시 상승 흐름에 진입하기 위해선 거래량과 강한 상승세를 동반한 11만 6,000달러의 돌파가 핵심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신중한 접근이 더욱 요구되는 시점이며, 향후 움직임은 매수세의 복귀 여부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