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단기적으로 10만 3,800달러(약 1억 387만 원)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기술적 분석이 제기되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뉴욕 증시 개장 이후 비트코인은 급락세를 보이며 하루 최저가인 10만 6,800달러(약 1억 680만 원)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주요 증시 지수인 S&P500과 나스닥의 소폭 하락과 맞물려, 시장 전반의 불안 심리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비트코인의 하락은 대형 기술주인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관련 지출 증가에 대한 투자자 우려와 긴밀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META)와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3분기 좋은 실적을 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각각 10%와 3% 하락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이러한 기업들이 막대한 AI 인프라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투기적인 베팅’이라는 의구심을 심어주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메타는 올해 AI 관련 자본지출(CAPEX)을 700억에서 720억 달러(약 94조 5,000억에서 97조 2,000억 원)로 증액할 계획을 세웠으며, 구글 모회사 알파벳($GOOGL) 역시 최대 930억 달러(약 125조 원)를 AI 인프라에 투자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러한 공격적인 투자 확대는 AI 산업의 성장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 동시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정책에 따라 거품 위험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시장은 어떻게 반응하고 있을까?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단기적으로 10만 달러(약 1억 원) 이하로 조정될 수 있다는 비관적인 시각을 속속 내놓고 있다. 주식과 암호화폐 모두 AI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투자 과열’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다수 등장하면서, 이러한 침체된 투자 심리가 디지털 자산 시장 전반에 걸쳐 부담을 주고 있다. 투자자들은 불안한 시장 상황 속에서 더욱 보수적인 접근을 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의 향후 가격 전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의 하락세는 단순한 가격 변동에 그치지 않고, 전체 시장의 투자 심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시장 반응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비트코인의 가격 예측과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은 그 어떤 때보다도 중요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