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BTC) 시장이 또 한 번의 하락 위기를 맞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파생상품 시장의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이 현재보다 5.8% 하락해 10만 9,736달러(약 1억 5,222만 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약 2,390억 원 규모의 롱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 가격 지점은 이번 달의 ‘최대 고통 지점(max pain point)’으로 지목되며, 이 수준까지 가격이 하락하면 대규모의 매도 압력이 발생해 가격이 추가로 급락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 하향 압력은 시장의 심리적 불안정성과 가격 변동성이 예고된 상황 속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빠른 시간 안에, 심지어 몇 분 이내에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반면, 비트코인의 숏 포지션에 대한 고통 지점은 12만 429달러(약 1억 6,719만 원)로, 이는 비트코인 현물 가격보다 약 3.3% 높은 수준이다. 가격이 상승할 경우 약 3,900억 원에 달하는 숏 포지션이 청산될 위험에 처하지만, 현재의 시장 흐름은 하방 리스크가 더 크다고 판단된다.
지난 24시간 동안의 청산 금액을 살펴보면, 롱 포지션이 약 1,293억 원 청산된 반면, 숏 포지션은 약 2,662억 원이 청산되는 등의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시장에서의 불안정성 및 변동성이 양쪽 방향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더리움(ETH)의 경우 역시 하루에 약 1억 485만 달러(약 1,460억 원)로 전체 코인 중 가장 큰 청산 규모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2,884만 달러(약 401억 원), XRP는 2,752만 달러(약 382억 원)를 각각 청산당한 상황이다.
하루 중 가장 큰 청산 사례는 바이낸스에서 발생한 ETH/USDC 포지션으로, 여기서의 손실 규모는 329만 달러(약 457억 원)에 달했다. 이와 같은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시장 심리의 변화와 다양한 기술 지표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11만 7,000달러(약 1억 6,263만 원) 선을 유지하지 못하고 11만 6,500달러(약 1억 6,174만 원) 수준으로 후퇴한 상황이다. 기술적 분석 결과, 11만 5,254달러(약 1억 6,078만 원)와 11만 4,887달러(약 1억 6,024만 원) 구간이 중요한 지지선으로 확인되며, 이 가격대에서 하락할 경우 강제 청산의 도미노가 현실이 될 수 있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 흐름은 빙산 아래 숨겨진 위험들을 예고하는 듯하다. 시장이 한 방향으로만 기울어질 때, 이러한 그림자는 더욱 뚜렷해진다. 과도한 레버리지를 활용해 투자하고 있는 투자자라면 이번 경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시장은 항상 변화무쌍하며, 특히 암호화폐와 같은 변동성이 큰 자산에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