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최근 4% 이상 상승하며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를 넘어섰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여전히 신중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알프랙탈(Alphractal)의 창립자이자 암호화폐 분석가인 주앙 웨드손(Joao Wedson)은 “비록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강세 전환에 대한 확신을 갖기에는 보다 뚜렷한 기술적 신호가 필요하다”며 경계를 촉구했다.
웨드손은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를 핵심 저항선으로 지목하면서, 가격이 이 수준을 명확히 넘기기 전에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반면 11만 400달러(약 1억 5,806만 원)를 지지하지 못할 경우, 비트코인은 10만 5,000달러(약 1억 4,595만 원) 수준까지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특히 10만 7,000달러(약 1억 4,863만 원)는 일시적인 저점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전반적인 시장의 강세 신호가伴하지 않는다면 추가 하락 가능성도 경고했다.
그가 주목하는 주요 지표들은 비트코인 도미넌스 상승, Sharpe Ratio 개선, 매수/매도 압력 균형 지표, 오픈 이자(Open Interest) 증가 및 온체인 트렌드 전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동시 호전되지 않을 경우, 투자자들은 인내심을 가지고 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데이터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의 TFT AI 예측 모델 또한 향후 30일간 비트코인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 모델은 비트코인이 10만 8,000달러에서 12만 달러(약 1억 5,012만~1억 6,680만 원) 사이에서 횡보할 것이라면서, 30일 내 예상 가격을 10만 8,771달러(약 1억 5,099만 원)로 설정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점은 10월 초부터 예상되는 50% 이상의 불확실성 확대라는 경고다.
리스크 요소로는 현재 유통 중인 비트코인의 약 88%가 수익 상태에 있으며, 과거 사이클에서처럼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는 시장이 과매수 국면에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로 인해 추가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이렇듯 상승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시장 내부에서는 조정 가능성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가 증가하고 있다. 핵심 저항선이 돌파되고 기술적 지표들의 전반적인 개선이 동반되지 않으면, ‘급락’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현재의 상승 흐름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