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고래 보유량, 7년 만의 최저치 경신…단기 조정 신호?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시장에서 고래 보유량이 최근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단기 조정의 전조가 될 가능성이 엿보인다. 최근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고래 투자자, 즉 대형 지갑 보유자들이 조용히 매도에 나서는 경향이 관찰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의 분석에 따르면, 100~1만 BTC를 보유한 대형 지갑의 평균 보유량은 최근 488 BTC로 감소하였다. 이는 2018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2024년 11월부터 시작된 지속적인 감소세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고래들이 보유 물량을 줄이고 있는 것은 이들이 시장 고점이나 정책 변화의 시점을 예측하여 자산 조정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장기 보유자의 행동 변화를 나타내는 ‘장기 보유자 바이너리 지출 지표(Long-Term Holder Binary Spending Indicator)’ 또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 지표는 오랜 기간 BTC를 보유한 지갑의 활동을 추적하는데, 최근 이러한 지갑들에서 빈번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거래가 활발한 경우는 시장의 피크 시점이나 큰 조정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로 여겨지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경계심을 주고 있다.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은 약 111,200달러(한화 약 1억 5,464만 원)로, 단기적인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수익 실현을 위한 매물이 꾸준히 출회되고 있다. 특히 최근 발표된 순실현 손익(Net Realized Profit and Loss) 지표는 7월과 8월 사이 상당수 투자자들이 수익 실현에 나섰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는 가격 상승 시 많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을 위한 매도를 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기술적 분석 측면에서도 비트코인은 다주간 하락세를 상향 돌파하며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렉트 캐피털(Rekt Capital)은 “비트코인이 일봉 기준으로 하락 추세를 넘어서 마감한 것은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이 하락 추세선이 지속 가능한 지지선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가 향후 비트코인의 단기 반등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과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그리고 글로벌 자산 흐름이 비트코인 매수세 회복에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고래들의 ‘조용한 매도’가 단기 조정의 신호인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