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고래가 약 5,000억 원(약 3억 6,00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토콜 하이퍼유닛(Hyperunit)의 핫월렛으로 이동시키면서 암호화폐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해당 고래는 보유하고 있는 총 비트코인이 5조 원(약 360억 달러)에 달하며, 이번 자산 이동은 약 2개월 만의 이례적인 움직임으로 이더리움(ETH)으로의 자산 전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 비트코인 고래는 처음으로 주목받은 시점이 지난 9월로, 당시 보유 중인 비트코인 약 7조 원(약 50억 달러)을 이더리움으로 전환했던 사례가 있다. 이때 이 고래가 이더리움으로 자산을 이동시킨 결과, 코퍼레이트 이더리움 보유량 기준 2위였던 샤플링크(Sharplink)를 제치고 화제를 모았다. 만약 이번에도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으로의 재조정이 이루어진다면, 단기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에 하방 압력이 가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10월 초 8일 동안에만 총 31건에 달하는 암호화폐 ETF 신청서를 접수한 사실도 업토버(Uptober) 랠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계속됨에 따라 규제 심사 일정이 지연될 우려도 커지고 있다. SEC는 예산안 통과 전까지 “제한된 인력으로 수정된 조건 하에 운영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CBS뉴스에 따르면, 공화당과 민주당은 7번째 협상에 실패했으며, 상원은 다음 주 화요일까지 워싱턴을 떠나기로 하면서 셧다운이 최소한 다음 주까지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정치적 불확실성은 ETF 승인 일정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규제 대응 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고래들의 움직임과 ETF 관련 이슈가 시장 정서를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고래들이 반복해서 이더리움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난다면, 중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의 점유율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트렌드를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