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의 공포·탐욕 지수가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극심한 시장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이 시점을 장기적인 투자 기회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심리를 수치화한 ‘공포와 탐욕 지수(Fear and Greed Index)’는 10포인트까지 급락하며 지난 2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왔다. 이는 투자자들이 극심한 탐욕에서 급격한 비관으로 전환했음을 나타내며, 보통 이러한 지표 변화는 시장의 저점이나 과열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불과 한 달 전, 비트코인은 ‘업토버(Uptober)’라는 이름으로 126,000달러(약 1억 2,600만 원)까지 상승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 그러나 곧이어 이 랠리는 진정되고, 이달 초에는 100,000달러(약 1억 원) 이하로 하락했다. 11월 14일에는 다시 가격이 하락하면서 94,000달러(약 9,400만 원)까지 떨어졌으며, 이는 최근 6개월 이내의 최저점으로 기록되었다.
변화의 흐름은 공포와 탐욕 지수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10월 초에 ‘극단적 탐욕’ 기준으로 입증되었던 지수는 이후 급격히 하락하여 현재는 ‘극단적 공포’ 단계에 도달했다. 이러한 시장의 움직임은 워런 버핏의 유명한 말, “남들이 탐욕스러울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스럽게 행동하라”는 조언을 떠올리게 한다.
시장 분석가들 중 일부는 현재 비트코인을 장기 보유할 수 있는 절호의 ‘매수 기회’라고 주장하고 있다. 과거 유사한 시점에서의 반등 사례를 근거로, 이번 급락 역시 향후 회복의 시작점일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다. 예를 들어, 지난 2월 비트코인이 80,000달러(약 8,000만 원) 이하로 떨어졌을 때도, 수주 안에 88,000달러(약 8,800만 원)로 반등하며 하락폭을 어느 정도 회복한 바 있다.
암호화폐 인플루언서인 ‘사토시 플리퍼(Satoshi Flipper)’는 “비트코인이 26~30% 조정을 받고, 공포 지수가 10에 도달한 지금은 ‘세대 부의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최적의 시점”이라며, 투자자들이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러한 긍정적 관점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시장의 불안정성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볼 때, 극단적인 공포의 순간들은 종종 중장기 상승장의 전환점으로 작용해왔다. 공포가 극에 달한 만큼, 이를 매수 신호로 받아들이는 투자자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지금 시점에서 비트코인의 공포·탐욕 지수는 9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하며, 극단적인 공포 속에서 장기적인 투자 기회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