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공식적으로 국가 재무계정에 포함되면서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자산이 경제적으로 실질적인 가치를 지닌 것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변화는 국제통화기금(IMF)과 각국 통계기관이 협력하여 개발한 새로운 국제 경제 표준에 따라 이루어졌다. 이 새로운 기준은 유엔 통계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은 최신 ‘국민계정체계(SNA)’를 기반으로 하며, 암호화폐는 ‘비생산 비금융자산’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는 국내총생산(GDP) 계산에는 제외되지만, 각국의 대차대조표에는 공식 자산으로 포함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자산 보유 현황이나 중앙은행의 보유 내역에 따라 암호화폐가 국가 재정 지표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MF는 암호화폐의 실체성과 확산 속도를 고려하여 기존 통계 체계가 디지털 자산의 경제적 영향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해왔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전 세계에서 교환수단과 투자수단으로 모두 활용되고 있으며, 금융 안정성과 조세 정책에서도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새로운 통계 모델은 디지털 자산의 존재감을 통계적으로 가시화하여 정책 대응의 정합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개정안에는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 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신경제 요소들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기술 주도형 자산들이 글로벌 금융 정책 설계에 일상적으로 반영되는 구조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IMF와 불편한 관계를 이어가고 있는 엘살바도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엘살바도르는 2021년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하고 IMF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을 적극적으로 매입해왔으며, 현재까지 6,000 BTC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약 1,044억 원에 해당하는 자산 규모로, 개정된 SNA가 적용될 경우 이러한 자산은 국가 부유지표에 명확히 반영될 수 있다.
IMF는 2029년부터 2030년까지 회원국들이 새로운 통계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 비중이 높은 국가들이 보다 투명한 재무 공개와 글로벌 경제 규제 프레임에 적응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번 변화는 디지털 자산이 제도권에 편입되는 속도에 가속도를 붙일 중요한 기제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