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금(XAU)의 가격 움직임과 유사한 ‘프랙탈(fractal)’ 상승 패턴을 재현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역사적으로 볼 때, 금 시세가 정점을 찍은 후 1년 이내에 비트코인은 최소 145%에서 최대 304%까지 급등한 사례가 존재한다. 현재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만큼 비트코인 역시 대규모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최근 금은 온스당 3,500달러(약 4백 8만 6,500원)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였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안전자산 선호가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과거의 데이터에 따르면 금이 강세를 보일 때 비트코인도 함께 상승세를 보였던 경향이 있다.
금이 고점을 찍은 후 비트코인 상승장이 발생했던 수많은 사례가 있다. 특히 2020년에 금 가격이 상승한 직후 비트코인은 그 기반 가격의 3배 이상 상승하며 강세장을 형성한 바 있다. 이러한 경로가 다시 반복될 경우,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비트코인이 장기적으로 최대 40만 달러(약 5억 5,600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이번 금의 신고가는 단기적인 금리 전망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미국 재정의 우려, 지정학적 긴장, 탈달러화의 흐름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귀금속 수요를 증가시켰다. 이와 같은 불안 요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자산에 대한 관심을 자극할 수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그의 암호화폐 우호정책에 베팅하는 투자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점은 또 다른 상승 촉매제가 되고 있다.
비트코인과 금 간의 상관성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지에 대한 분석은 자산 시장의 주요한 기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연 비트코인이 금과의 상관성을 유지하며 ‘디지털 금’이라는 명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을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이 금융시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