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가격 변동 주기가 약 4년으로 반복된다는 것은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통상적인 사실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2022년에는 이 공통된 신념에 의문이 제기됐다. 과거 2011년, 2014년, 2018년과는 달리, 비트코인은 2만 달러(약 2,780만 원) 아래로 떨어지며 ‘사이클마다 고점이 낮아지지 않는다’는 믿음이 깨졌다. 특히 FTX의 붕괴로 인해 비트코인의 가격은 1만 5,000달러(약 2,085만 원)로 급락했다. 이는 2017년 말에 잠시 넘겼던 2만 달러의 고가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현재 시장의 관심은 비트코인이 얼마까지 상승할 수 있는지가 아니라, 향후 하락장에서 저점이 어디가 될 것인가에 집중되고 있다. 다이아만 파트너스(Diaman Partners) 리서치팀은 2025년 말에 이번 주기가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시점을 기준으로 2026년에 도래할 수 있는 크립토 윈터의 저점을 예측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은 비트코인이 과거와 같은 주기적 변동성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보다 성숙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고 있다는 견해에서 비롯된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ETF의 자금 유입, 기관의 비트코인 수요 증가, 그리고 기업 재무부와 연기금들이 비트코인을 매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이러한 시각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측면에서는 비트코인의 가격 사이클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과거보다 변동성이 약해질 수는 있지만, 급격한 상승과 하락을 포함한 대규모 사이클이 앞으로도 몇 년 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여전히 크립토 윈터의 재도래 가능성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신뢰받는 지표 중 하나인 아담 백(Adam Back)이 제안한 ‘200주 이동 평균선’ 모델은 장기 하락장의 저점을 예측하는 유용한 도구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 투자자들에게 심리적인 기준선으로 활용되고 있다.
비트코인이 이러한 주기적 움직임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현실적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현재 시점에서는 그 가능성을 성급히 단정 짓기보다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결론적으로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시장의 다채로운 변동성에 주의하며, 향후 하락장의 저점을 잘 준비해둘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