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전체 용량이 2023년 5,400BTC에서 2025년 8월 기준으로 4,200BTC로 줄어들면서 20% 가량 감소했다. 이러한 수치는 일견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지만, 이는 네트워크 구조와 효율성의 진화에 따른 전략적 변화로 이해해야 한다는 분석이 등장하고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용량’은 공개된 결제 채널에 잠겨 있는 비트코인의 총량을 나타내지만, 이는 전체 사용량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는다. 라이트닝 기술 업체 리버(River)의 보고서에 따르면, 사설 채널, 수탁형 지갑, 경로 분할 송금 등 다양한 방식이 공공 정보에 나타나지 않더라도 실질적인 사용량은 획기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1년 8월부터 2023년 8월까지 라우팅 결제는 약 1,2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의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는 2024년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도입 이후, 전체 비트코인 출금의 약 15%를 라이트닝을 통해 처리하고 있다. 유럽 결제 서비스 업체 코인게이트(CoinGate) 역시 2025년 상반기 기준으로 전체 비트코인 결제의 약 16%가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단 2년 전 6.5%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용량 감소와 함께 공개 채널 노드 수도 줄어들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숫자가 줄어든 것이 아니라 기술적 고도화의 일환으로 풀이되고 있다. 개발자들은 허브 노드를 통한 라우팅 최적화와 채널 크기 조절 기능(채널 스플라이싱)과 같은 프로토콜 업그레이드가 전체 효율성을 높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 결과, 이제는 이전보다 적은 네트워크 자원으로 더 많은 결제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네트워크 이용 방식도 다양화되고 있다. 2025년 1월, 테더(Tether Limited)는 라이트닝 네트워크에 기반한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 ‘USD₮’를 출시하여 비트코인 외에 추가 결제 수단을 제공했다. 라이트닝 랩스의 CEO 엘리자베스 스타크(Elizabeth Stark)는 “비트코인의 보안성과 라이트닝의 속도를 결합한 새로운 시대가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기술 발전 또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결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공격 방지 연구와 인공지능 기반의 API 자동 결제(L402 프로토콜)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금융 시스템을 넘어서는 확장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기술은 머신 간 페이퍼 리퀘스트 기반의 결제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미래의 디지털 경제에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결론적으로,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용량 감소만으로 인해 채택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오히려 채널 최적화, 응용 확장, 결제 수단의 다변화를 통해 더 많은 사용성과 가능성이 창출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의 구조적 유연성과 내구성을 잘 보여주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