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매수/매도비율, 7년 간 최저치 기록…단기 가격 하락 우려 커져

[email protected]



비트코인의 온체인 지표인 테이커 매수/매도비율(Taker Buy/Sell Ratio)이 최근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단기적인 가격 하락과 장기 하락장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시장 분석가들은 비트코인이 여전히 강세장을 이어갈 수 있다고 믿고 있으나, 나빠진 매수 심리를 근거로 변곡점이 임박했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시장 데이터 분석업체인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30일 이동평균 기준 테이커 매수/매도비율은 최근 1.01에서 0.98 이하로 떨어져, 이는 2018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 수치는 비트코인이 역대 최고 가격인 6만 9,000달러(약 9억 5,910만 원)를 기록했던 2021년 11월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테이커 매수/매도비율은 시장 내 매수 강도와 매도 강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며, 수치가 1보다 낮을 경우 매도 압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0.98 이하로 떨어지면 강한 매도세 전환 신호로 해석되며, 이는 단기적인 가격 하락 가능성을 높인다. 최근 며칠 사이에 있었던 비트코인의 급락은 매수세의 급속한 위축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도 우려의 목소리는 지속되고 있다. 테이커 비율이 떨어지는 가운데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실질적인 매수 수요가 없어지거나 감소하고 있다는 경고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크립토퀀트 측은 “비트코인의 현재 상승세는 거래소 내 실제 매수세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불균형은 향후 가격 급락이나 장기적인 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일부 분석가들은 비트코인 상승장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크립토포테이토(CryptoPotato)의 보도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오는 10월 말에서 11월 중순 사이에 최종적인 랠리가 있을 것으로 점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비트코인이 상승 임계점인지 또는 하락 전환점인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가 어려운 상태다.

비트코인은 현재 다양한 거래 지표가 상충하는 신호를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더욱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테이커 매수/매도비율의 하락이 과연 실제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새로운 모멘텀을 가져올지는 단기간 내에 더욱 뚜렷한 방향성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 시장의 심층 분석과 향후 가격 동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