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미결제약정 137억 달러 돌파… 레버리지 급증으로 인한 롱 스퀴즈 우려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반등하면서 바이낸스에서의 미결제약정(OI)이 약 137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는 지난 7월 중순에 가까운 수준으로, 시장의 투기 심리를 다시 한번 고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미결제약정의 증가는 기존 숏 포지션의 청산이 아니라 새로운 롱 포지션의 진입에 따른 결과로 추정된다.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가격보다 미결제약정이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경우, 과도한 레버리지가 시장에 쌓일 위험이 있다. 이는 가격이 하락할 경우 롱 스퀴즈 현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현재 시장 참가자들이 주목하는 저항 구간은 11만 9,000달러에서 12만 달러 대인 것으로 보인다. 이 구간을 안정적으로 돌파하고 나면 비트코인 가격은 12만 2,000달러에서 12만 4,000달러로 상승할 여지가 있다. 그러나 높은 미결제약정과 함께하는 돌파는 오히려 급락으로 이어질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만약 이 저항 구간에서 가격이 거부된다면, 과도한 레버리지로 인해 대규모 청산이 발생할 것이며, 이는 하방 압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

현재 미결제약정은 사상 최고치인 약 140억 달러에 근접해 있으며, 추가적인 레버리지 확대는 시장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결제약정이 안정되거나 감소한 상태에서 비트코인이 12만 달러 이상으로 마감된다면, 이는 현물 매수 또는 숏 포지션 차익 실현의 신호로 해석되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으로 판단될 것이다.

시장 분석 업체 스위스블록은 향후 비트코인 가격의 중요한 변수로 네트워크 성장률과 유동성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네트워크 지표는 82로 높은 수준인 반면, 유동성은 52에 머물러 있어 추가적인 유동성 유입이 있을 경우 비트코인 시세의 추가 상승 여력도 존재한다. 그러나 유동성이 4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비트코인의 네트워크 성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승세가 단기 정점에 이른 것이라는 경고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시장은 미결제약정의 변동성과 가격 간의 상관관계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높은 레버리지에 기반한 상승세는 결국 청산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에, 비트코인이 12만 달러 위에서 어떻게 안정적으로 위치할지가 이번 상승 추세의 지속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