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11만 달러를 돌파하며 상승세를 보이자, 밈코어(M)가 하루 만에 30% 상승하면서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0위권에 진입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번 랠리는 최근 몇 주간 이어진 비트코인의 하락세가 진정되고, 시장 전반의 회복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발생했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14일 12만 4,000달러까지 상승하며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으나,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 이번 주 초에는 10만 7,000달러에 달하는 수준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인 제롬 파월의 잭슨홀 연설 이후 투자 심리가 개선되면서 비트코인이 반등에 성공했고, 현재 11만 500달러를 기록하며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와 함께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은 3조 9,000억 달러를 회복했으며,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도 56% 이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시장 분위기 속에서 밈코어(M)가 눈길을 끌었다. 이 토큰은 하루 사이 30% 이상 급등하며 가격이 0.82달러를 넘어섰고, 이는 알트코인 시장에서의 하락세 속에서도 기록된 것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반대로 크로노스(CRO)는 지난주 0.38달러의 고점을 기록한 후 30%가량 하락하며 조정을 받고 있는 가운데, 솔라나(SOL), 리플(XRP), 바이낸스코인(BNB), 도지코인(DOGE), 트론(TRX), 체인링크(LINK)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메일 마케팅 기업 ‘Really Good Agency’의 CMO 알리시아 베이커는 현재 시장 상황을 강력한 반등이라기보다 조정의 끝자락에서 투자자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는 전환점으로 해석하며, 비트코인이 근처 저점에서 강한 방어 성과를 나타낸 것이 시장 전반의 심리에 긍정적인 신호를 주었다고 분석했다.
비트코인의 반등이 단기 조정의 끝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추가적인 하락에 앞서의 일시적 반등인지에 대한 판단은 이르다. 그러나 그러한 밈코어와 같은 특정 토큰들의 급등은 시장의 위험 선호도가 서서히 되돌아오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지금 현재의 반등이 지속 가능할지는 추가적인 시장 동향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