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반등 신호로 12만 달러 돌파 기대감 재조명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시장이 최근 조정을 겪은 이후로 다시 반등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최근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매도 압력이 완화되면서 단기적으로 상승 전환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시장 심리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인 ‘수익 상태에 있는 비트코인 비율’이 점차 회복세를 보이면서,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점치고 있다.

데이터 분석가 악셀 애들러(Axel Adler)는 최근 30일간 수익권 비트코인 물량 비율이 -12%에서 -6%로 완화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비트코인을 저가에 보유한 투자자들이 여전히 수익 실현보다는 버티기를 선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실제로 10월 초 기록한 최고가 12만 6,198달러(약 1억 7,550만 원)에서 1만 5,000달러(약 2,085만 원) 가량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더 이상의 투매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런 분위기는 매도세의 급감으로 이어졌다. 과거에는 가격 하락 시 투자자들이 서둘러 물량을 내놓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패턴이 뚜렷하게 줄어들었다. 한 전문가는 “투자자들이 하락세를 매수 기회로 해석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가격 반등을 유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1,616달러(약 1억 5,615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일중 최고가는 11만 1,850달러(약 1억 5,647만 원)에 도달했다. 그러나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9% 줄어든 404억 3,000만 달러(약 56조 1,977억 원) 수준으로, 거래량 회복이 가격 반전을 지지하는 핵심 요소로 꼽힌다.

동시에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수요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JP모건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보유분을 대출 담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을 밝히며, 제도권 자금의 유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통 금융기관의 참여 증가는 장기적인 가격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계기”라고 평가하고 있다.

기술적 가격 지표와 거래 심리가 동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비트코인이 조정 이후 새로운 가격 저점을 형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많은 장기 보유자들은 현재의 변동성 상황을 비트코인 매집의 적기로 보고 있으며, 이는 결국 시장 전반의 매수 압력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비트코인 시장의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향후 가격 상승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투자자들은 이 시점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며, 향후 발생할 변화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