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보유자의 세대 교체가 진행 중… 12조 원 규모 매도에도 시장은 안정세 유지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시장에서 장기 보유자와 초기 채굴자들의 물량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며, 대신 기관 투자자들이 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금융사인 스완(Swan)은 이에 대해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큰 보유자 교체’ 현상으로 분석하며, 시장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스완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한 주 동안 약 8만 개의 비트코인, 즉 90억 달러(약 12조 5,100억 원)에 해당하는 대규모 매도 물량이 시장에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BTC 가격은 큰 변동 없이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을 사토시 시대부터 보유해온 ‘고래’들이 일부 물량을 매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이를 무리 없이 흡수하면서 성숙된 모습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현재 자산 흐름을 단순한 유동성 문제로 보기보다는 세대 교체 수준의 구조적 전환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전 강세장에서 종종 나타났던 초기 보유자들의 ‘익절’ 현상이 이번에는 장기적인 기관 자금 유입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제는 거래소에 상장된 금융 상품이나 법인 투자자들이 새로운 시장 주체로 자리 잡고 있는 과정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다.

스완은 “기존의 참여자들이 시장에서 떠나고 있으며, 확신을 가지고 있는 글로벌 자본이 유입되고 있다”고 밝혔으며, 이는 다음 상승 랠리의 기반을 더 강하게 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과거처럼 급등락을 반복하는 거품 시장이 아닌, 점진적인 자본 유입과 수요 축적이 가격 상승의 주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회사인 글래스노드(Glassnode)의 보고에 따르면, 최소 155일 이상 비트코인을 보유한 장기 투자자들이 여전히 전체 공급량의 53%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추가 매도 가능성이 존재함을 시사할 뿐만 아니라 가격 상승을 위한 지속적인 흡수 수요가 필요하다는 점도 암시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 이후, 비트코인은 한때 2% 하락해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 수준까지 떨어졌으나, 아시아 거래 시간대에 빠르게 회복하여 11만 8,300달러(약 1억 6,469만 원)를 다시 회복했다. 이는 비트코인이 특정 가격대에서 안정적인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스완은 “만약 여전히 2021년과 같은 급등장을 기다리고 있다면, 다음 10배 랠리를 놓칠 수 있다”며, 다음 상승장은 ‘자본이 천천히 들어오고, 응축되며, 장기화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분석하였다. 현재 보유자 교체의 막바지에 서 있는 시점에서 비트코인의 장기 성장성을 바라보는 이들에게, 지금이야말로 다시금 시장에 접근할 시점이라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