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상승세, 미국 퇴직연금과 기술주 상승이 뒷받침

[email protected]



최근 에이엠매니지먼트(AM Management)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퇴직연금 시장이 약 12조 달러에 달하며 이곳에서 암호화폐 투자의 허용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포함한 주요 가상자산의 강세를 이끌고 있다. 이 보고서는 미국에서의 구조적인 시장 모멘텀이 여전히 유효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무역갈등 재점화와 고율 관세 확대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애플 주가는 주간에 12% 이상 상승하며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러한 기술주 중심의 주식 시장 상승이 비트코인와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동시에, 66개국에서의 관세 인상과 인도의 50% 고율 관세 부과 등 보호무역 기조의 강화로 인해 글로벌 교역 둔화 우려도 커지고 있으며, 세계무역기구(WTO)는 올해 교역 성장률을 하향 조정한 바 있다.

거시경제적인 불확실성 역시 확대되고 있다. 미국의 실업률은 4.2%로 증가하였고, 통화정책에 대한 혼선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에이엠매니지먼트는 CME FedWatch 자료를 통해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가 현행 수준보다 인하될 가능성이 88.4%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10월은 금리 동결과 인하 가능성이 비슷하면서도, 12월에는 추가 금리 인하로 기울어질 확률이 67.6%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비트코인은 전주 대비 4.45% 상승하여 11만9,294달러로 마감하였으며,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93조 달러로 6.5%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60.37%로 감소하였고, 이더리움 도미넌스는 13.15%로 13.26% 상승하였다. USDT 도미넌스는 4.19%로 하락하면서, 4% 이하로 떨어질 경우 3.8%의 지지선을 테스트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비트코인 중심의 암호화폐 구도가 약화되고, 알트코인의 상대적인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

레버리지 펀드에서는 순매도(숏) 포지션이 축소되고 순매수(롱) 포지션이 확대되면서 단기 쇼트커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기관투자자들은 롱 포지션을 줄였지만, 전반적인 시장에서는 앞으로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소매판매 데이터에 따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에이엠매니지먼트는 긍정적인 경제 지표 결과에 따라 롱 포지션 확대 가능성을 제시했다.

비트코인 가격의 중장기 방향성에 대한 전망도 중요한데, 보고서는 11만8천 달러의 기술적 지지선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해당 지지선을 유지할 경우 비트코인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이탈 시에는 CME의 갭을 메우기 위한 조정 국면에 들어갈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다음 주에는 여러 주요 프로젝트의 토큰 언락과 검증 프로토콜 테스트넷이 예정되어 있어, 이는 시장의 단기 공급 압력 및 기술적 기대감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종합적으로 에이엠매니지먼트는 무역과 금융 정책의 불확실성 가운데서도 구조적인 수요 성장, 주요 기업 실적 호조, 그리고 암호화폐의 제도권 진입 등의 요소들이 긍정적인 시장 흐름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평가하고 있다. 향후 8월 중순 논의될 CPI 및 소매판매 지표가 통화정책의 중요한 잣댈 역할을 할 것으로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