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비트코인 회의론자로 잘 알려진 피터 시프(Peter Schiff)의 경고가 무려 237번이나 빗나간 사실이 밝혀졌다. 인공지능 플랫폼인 그록(Grok)의 분석에 따르면, 2011년 이래로 시프가 비트코인의 붕괴를 예측한 모든 사례가 집계되었고, 그 결과는 충격적이다. 그가 지속적으로 발신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의 가격은 약 1,000,000% 상승했다.
그록의 분석은 비트코인 전문 기자인 비벡 센(Vivek Sen)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이는 시프가 지난 13년간 소셜 미디어 트윗, 인터뷰, 칼럼 등에서 발표한 발언을 정밀하게 추적한 결과다.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거품이다’, ‘머지않아 붕괴할 것이다’, ‘비트코인은 무가치한 자산이 될 것이다’라는 주장만 해도 237회에 달한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은 현재 약 2조 2,729억 달러(약 3,158조 원)의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비트코인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피터 시프는 여전히 비관적인 의견을 고수하고 있다. 올해 7월에 비트코인이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에 거래될 당시, 그는 “지금은 팔고 은을 사야 할 시기”라고 경고했으나, 며칠 후 비트코인의 가격은 12만 3,000달러(약 1억 7,097만 원)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4월에는 “비트코인은 사기이며, 마이클 세일러가 이끄는 ‘스트래티지’는 파산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스트래티지는 최근 분기 순이익 100억 달러(약 13조 9,000억 원)를 달성하여 실적으로 시프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그가 비트코인에 대해 제기하는 비판론은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 부재, 높은 변동성, 그리고 기술주와의 연관성에 기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 보유를 시도하는 것이 “국민 세금 낭비”라며 비난하고, 마이클 세일러를 향해 “사기꾼”이라는 과격한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다소 다르게 나타난다. 비트코인은 지난 초에 ETF 자금 이탈, 미 연준의 긴축 기조, 강대국 간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11만 2,269달러(약 1억 5,609만 원)까지 떨어졌으나, 현재는 11만 4,238달러(약 1억 5,879만 원)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30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의 상승률은 5.6%에 이르며, 연간 상승률은 88.7%에 달한다. 장기적으로 보아도 여전히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번 그록의 보고서는 반복되는 비관론이 단순한 주장이 아니라, 현실 예측에서 얼마나 괴리가 있는지를 여실히 드러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AI를 이용한 분석 결과라는 점에서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서 데이터 기반 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프의 경고가 계속될지라도, 시장은 그를 더 이상 주목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경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