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선물 시장이 현재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높은 펀딩 비율이 투자자들 사이에 불안감을 증대시키고 있다. 최근 바이낸스의 8월 비트코인 선물 거래 데이터에 따르면, 가격이 하락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펀딩 비율은 여전히 0.005~0.008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다수의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의 반등을 기대하며 레버리지 롱 포지션을 고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투자 심리는 시장의 기초 체력과는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시장 상황은 두 가지 주요 시나리오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첫 번째는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의 지속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 하락세가 단기 조정에 불과하다고 평가하며 손실을 감수한 채 긴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고, 이는 펀딩 수수료를 부담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고레버리지 투자자들의 포지션이 무너질 가능성이다. 이러한 경우, 연쇄 청산 사태가 발생하며 ‘롱 스퀴즈’가 나타날 수 있어 시장 전반에 충격을 줄 수 있다.
바이낸스는 글로벌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해당 거래소의 펀딩 비율은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로 기능한다. 업계 분석가들은 “한쪽으로 치우친 포지션은 불안정한 구조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며, 반등이 없을 경우 추가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온체인 지표 또한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글래스노드의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실사용 지표가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다. 일일 활성 지갑 수와 거래 수수료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자생적인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에, 전송량은 일시적인 변동성 거래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투기적인 요소가 시장에 끼치는 영향이 우려된다.
자금 흐름에 관한 분석도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Realized Cap의 유입세가 약화되고 있으며, 단기 보유자들의 매도가 늘어남에 따라 STH/LTH 비율이 증가했다. 또한, 순실현 손익(Net Unrealized Profit/Loss) 지표는 중립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로, 과거의 낙관적인 전망에서 멀어져 ‘취약한 균형기’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기관 투자자의 정서 변화도 관찰되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 ETF 상품에서 자금 유출이 지속되고 있어, 이들이 점차 관망세로 돌아서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옵션 시장에서 헤지 수요가 커지고 있다는 점은 가격의 방향성보다는 리스크 회피 의지가 더 강하다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결국, 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낙관론과 불확실성 사이에서 균형을 잃고 불안정한 흐름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유동성이 새로운 자금으로 얼마나 보충될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추가 하락 또는 박스권 횡보 시나리오 모두 열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