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과거의 격렬한 가격 변동성을 체험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된 이후 비트코인 시장의 변동성이 현저히 감소하며, 시장 생태계가 완전히 변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블록웨어(Blockware)의 비트코인 애널리스트인 미첼 애스큐(Mitchell Askew)는 “ETF 출현 전후의 BTC/USD 차트는 두 자산의 모습이 완전히 다르다”며, 2024년 1월로 예정된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이후 가격 변동폭이 뚜렷하게 줄어들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앞으로 10년 동안 100만 달러(약 13억 9,000만 원)까지 안정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그 방식은 과거와는 전혀 다를 것이며 투자자들은 격렬한 랠리 없이 지루하고 반복적인 흐름 속에서 점진적으로 걸러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ETF의 도입으로 인해 비트코인이 과거처럼 소규모 개별 투자자들의 투기적 거래가 아닌, 대규모 기관 자금의 유입과 중심으로 성숙한 자산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투자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이 기관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투자자들은 더 안정적인 투자 접근 방식을 채택하게 될 전망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 임기 중 채택된 ETF 승인 정책이 비트코인 시장의 이러한 흐름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에는 블랙록, 피델리티, 그레이스케일과 같은 주요 자산 운용사들이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에 참여하며 거래량과 시장 영향력이 대폭 확대됐다. 이러한 업계의 변화는 비트코인이 앞으로 대중의 몰입도가 낮아진 대신 더욱 조용하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는 경향이 짙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뒷받침한다.
애스큐는 이제 비트코인이 단기적인 가격 급등을 기대하기보다는, 장기적인 투자 관점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이 격렬한 상승세 대신 더 성숙하고 안정된 성장 패턴을 보일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비트코인의 새로운 투자 환경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