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 시장에서 최근의 매도 압력이 주로 신규 투자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 기업 JAN3의 최고경영자 삼손 모우(Samson Mow)는 비트코인을 지난 12~18개월 동안 구입한 신규 투자자들이 최근 수익 실현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들은 약 20%에서 30%의 수익을 챙기고, 현재의 시장 고점이 끝난 것이라는 인식에 따라 빠르게 매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매도 행위는 고점 인식이 시장 전반에 매도세를 자극하고 있으며, 개별 투자자들의 수익 확보 성향이 전체 시장으로 확산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신규 투자자들은 시장 하락에 대한 우려로 ‘너무 늦기 전에 팔아야 한다’는 심리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트코인 고래(오래전부터 보유하고 있는 대량 투자자)의 매도 또한 매물 압력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이들 고래의 활동은 여전히 활발하며, 신규 투자자들조차 이러한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모우는 덧붙였다.
2025년의 실망스러운 성적을 뒤로하고, 시장의 눈길은 자연스럽게 2026년으로 향하고 있다. 모우는 “2026년은 암호화폐 시장에 있어 매우 기대되는 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반등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는 에이다(ADA)의 창시자인 찰스 호스킨슨의 낙관적인 전망과도 일치하는 발언이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도 올해 비트코인 가격이 17만 달러(약 2억 2,100만 원)에 도달할 것이라는 진단을 내놓으며, 이 예측은 현재의 시장 하락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의 매도 국면이 단기적인 조정에 불과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시장이 중요한 재정비 과정을 겪고 있다는 평가가 제기되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변화는 가격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투자자들의 반응과 거래소에서의 매물 동향에 주목할 필요성이 크다. 비트코인 시장에서의 이번 매도세는 신규 투자자들의 수익 실현이라는 요인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사례로, 향후 시장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지켜보아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