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트코인이 1억 5,700만원대에서 약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더리움과 리플 역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8월 2일 오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113,612달러(약 1억 5,781만 원)로 지난 24시간 동안 -1.44% 하락했다. 비트코인의 단기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30일 기준으로 4.18%, 90일 기준으로 18.19% 상승하며 중장기적인 상승 추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가격 조정을 반영하며, 박스권 내에서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7일 변동률이 -3.05%로 집계됨에 따라 최근 일주일간 점진적인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동시에 이더리움은 3,517달러(약 488만 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으로 -4.58%의 하락 폭을 기록했다. 1시간 변화율은 +0.17%로 소폭 반등을 보이는 모습이지만, 7일과 30일간 각각 -5.02%, +36.24%의 변동성을 나타내며 고강도 변동성 구간에 진입했다. 특히 90일 누적 상승률이 91.32%로 탄탄한 흐름을 보이며, 시장에서 여전히 상승 모멘텀을 주도하고 있는 자산으로 평가된다.
리플은 2.97달러(약 4,134원)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24시간 변동률이 -0.09%에 그쳐 다른 자산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이다. 그러나 7일간 -4.46%의 하락을 보여 조정세를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30일, 60일, 90일 누적 상승률은 각각 32.48%, 34.1%, 35.09%에 달해 리플 역시 중기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리플 모두 가격 조정을 겪고 있으나 중기적인 상승세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다.
또한, 바이비트의 포지션 수익 분석에 따르면, 상승 수익을 기록한 포지션이 전체 중 약 11%에 불과하며, 손실 리포지션이 462건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비중은 현재 시장이 조정국면에 진입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의 최근 하락세는 매수 Position이 고점에서 정리되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비트코인도 비슷한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더리움의 중장기적 기대감은 ETF 자금 유입과 수급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이번 8월에만 23억 달러 규모의 이더리움 ETF 자금이 순유입되었으며,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매집을 시작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단기적으로 기술적 지표인 RSI와 MACD가 하락 신호를 보이지만, 기관들이 유입한 자본이 하방 지지력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주요 지지선인 3,594달러가 유지된다면 4,347~4,613달러로의 회복 가능성도 제기된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 중심의 시장은 단기 하락 압력을 조정하며 중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매크로 환경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투자자들은 리스크 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무리한 추격 매수 대신 분할 매수 전략이나 손절가 설정이 중요시되는 시점이다.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유연한 트레이딩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