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현재 시세는 실제 가치보다 최대 45% 저평가되어 있다는 분석이 등장했다. 에너지 기반의 공정 가치(fair value) 산정에 따르면 비트코인 1개의 가격은 최대 16만 7,800달러(약 2억 3,292만 원)까지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되고 있다. 이 분석은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카프리올 인베스트먼트의 창립자 찰스 에드워즈(Charles Edwards)가 최근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에드워즈가 언급한 날 기준으로 비트코인 시세는 약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였다. 따라서 실제 가치는 현재 시세보다 약 45% 높아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에드워즈가 제안한 비트코인의 에너지 가치 지표는 채굴에 소모되는 에너지량, 공급 증가율, 그리고 에너지의 명목화폐(달러) 가치를 바탕으로 하여 비트코인의 적정 가격을 산정하는 방법론이다. 이 지표는 채굴자가 없는 경우 네트워크의 가치가 0이 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반대로 높은 해시레이트는 비트코인의 시스템적 강건성을 나타내며, 이는 곧 비트코인의 자산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로 온체인 분석 플랫폼인 글래스노드(Glassnode)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평균 해시레이트는 초당 1.031 제타해시(ZH/s)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강력한 채굴 참여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이 2020년 9월 마지막으로 1만 달러(약 1,390만 원)를 넘었을 때보다 현재 더 높은 가치를 가질 수 있는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비트코인이 저평가되어 있다는 분석은 단순한 기술적 관점에 그치지 않는다. 에너지 소비와 해시 파워와 같은 실질적인 지표를 기반으로 하여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의 재평가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채굴 산업의 지속성과 해시레이트의 동향에 주목해야 한다. 비트코인의 적정 가치 회복 여부는 이러한 지표들이 유지되거나 상승세를 보이느냐에 달려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의 가치는 단순히 현재 시세로부터 산출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근본적인 요소들에 의해 재평가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