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시장이 심리적 저항선인 10만 4,000달러(약 1억 4,456만 원)에서 불안정한 상황을 지속하고 있다. 거래소의 오더북에 집계된 유동성 데이터는 시장의 불안정을 느끼게 하고 있으며, 이는 ‘공포’라는 단어까지 사용해 경고하고 있다. 매수세가 약화된 반면, 매도 세력은 상대적으로 약해져 시장은 또 다시 급락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코인가격 데이터 플랫폼인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은 200일 이동평균선 위인 10만 4,500달러(약 1억 4,505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매도세의 심화로 인해 하방 유동성이 집중된 상황이다. 특히, 매수 주문은 대부분 10만 달러에서 10만 2,000달러(약 1억 3,900만~1억 4,178만 원) 구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보다 높은 가격대에서는 매도 호가의 공백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 시장의 심리를 어둡게 하고 있다.
최근 24시간 동안 다수의 강제 청산이 발생하면서 단기 매수자들이 방어를 시도했으나, 이는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며 시장의 매도 압력을 막기에는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유동성 히트맵에서 드러난 빨간색 공백은 비트코인의 핵심 지지선 아래에 ‘매수 공황 지대’를 시사하며, 이 구역이 무너지면 비트코인이 곧바로 9만 8,000달러(약 1억 3,622만 원)로 하락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기술적 지표 역시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50일 및 100일 지수이동평균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상대강도지수(RSI)는 33으로 과매도 영역에 접어들고 있다. 그러나 상승 반전을 유도할 만한 매수세는 나타나지 않고 있어, 반등의 가능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현재 비트코인 오더북은 구조적으로 불균형한 상태”라고 지적하며, “가격보다 더 큰 위험 요소는 열악한 유동성 구조”라고 덧붙였다. 투자자들은 추가적인 하락을 우려해 방어적인 포지션을 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단기적인 지지선의 의미가 더욱 약화되고 있다. 시장의 공황 심리는 오더북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으며, 이는 빠른 시일 내에 전환이 불가능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하락 추세가 이어질 경우 비트코인 기술적 반등의 여력은 더욱 제한될 가능성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단기적인 보합 구간에서 이탈하게 되면 시장은 또 한 번 강력한 하락 압력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유동성을 회복하거나 적극적인 매수세가 유입되지 않는 한, 비트코인 시장은 반전의 실마리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