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정체 속 금값 사상 최고 기록, 내부 매도 압력 주목

[email protected]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비트코인은 11만 달러대에서 정체 상태를 이어가고 있어 투자자들의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분석에 따르면, 금과 주식이 동시에 강세를 보이는 상황에서도 비트코인이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이유는 내부 매도 압력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장 분석가 JA 마르툰은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평가되는 금과 고위험 자산인 주식이 동시에 상승하는 현상은 시장이 불안정성에 대비하면서도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금은 연초 대비 37% 이상 상승하여 온스당 3,697달러(약 513만 원)를 기록하며 역사적인 고점을 찍었고, 은 또한 41% 급등했다. S&P500과 나스닥지수도 사상 최고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어, 전체 금융시장이 위험 선호와 회피의 복합적인 태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이러한 추세와 대조적으로 정체된 모습이다. 마르툰은 비트코인이 내부 매도 압력에 의해 눌려 있다고 보고, 최근 30일 동안 장기 보유자들이 약 23만 BTC를 시장에 매도했다는 데이터를 제시했다. 이는 신규 수요가 감소한 매도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면서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제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5,852달러(약 1억 6,083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1주일 동안 3.4% 상승했지만 여전히 8월 최고가 대비 6.6% 낮은 상태에 있다. 지난 24시간 동안에는 0.5% 하락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비트코인의 이러한 정체 상태가 곧 끝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일간 MACD에서 나타난 희귀한 골든크로스와 MVRV 비중이 10만 7,000달러(약 1억 4,873만 원) 부근에서 바닥을 형성한 상황은 역사적으로 30~40%의 폭등을 예고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지표들을 고려할 때 비트코인이 14만 달러(약 1억 9,460만 원) 이상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비트멕스 공동 창업자인 아서 헤이즈는 비트코인의 강세장이 유동성 공급에 의해 이끌릴 것이라 전망하며, 이러한 흐름이 2026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여전히 비트코인의 장기 목표가를 25만 달러(약 3억 4,750만 원)로 제시하며,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휘둘리지 말 것을 투자자들에게 당부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의 행보는 글로벌 거시경제보다는 내부 생태계의 구조적 조정에 기인하고 있으며, 새로운 수요가 매도 물량을 충분히 흡수하기 전까지는 비트코인의 가격 역시 박스권에 갇힐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투자자들은 따라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