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조정 국면, 전문가들은 여전히 강세 전망

[email protected]



비트코인의 가격이 최근에 급등세를 멈추고 조정 국면으로 접어들었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여전히 비트코인의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진단하고 있다. 이들은 미국의 재정 적자와 약세 달러, 그리고 기관투자가의 자금 유입이 중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의 강세를 지지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지난주 사상 최고가인 12만6,000달러를 돌파한 이후 소폭 하락하여 현재 약 12만2,000달러에서 거래되고 있다. 일부 투자자들은 단기 조정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만, 전체 시장의 분위기는 여전히 긍정적이다.

Hashdex의 글로벌 시장 인사이트 책임자 제리 오셰아는 “비트코인의 단기 조정은 건강한 현상이며, 연말까지 14만 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내다봤다. 그는 또한 “비트코인이 여전히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으로서 금과 함께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지속적인 재정 적자와 부채 증가가 달러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Pepperstone의 시장 전략가 딜린 우는 “미국의 재정 지출 확대와 낮은 실질 금리는 향후 6개월에서 1년 반 동안 달러 약세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이러한 흐름이 비트코인과 금과 같은 대체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욱이, 기관투자가의 유입이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도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된다. 최근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의 거래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헤지펀드와 자산운용사들은 포트폴리오 내에서 디지털 자산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비트코인이 이제 더 이상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닌 ‘디지털 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여전히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단기 위험이 존재함을 경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글로벌 경제 둔화, 각국의 암호화폐 규제 강화 등이 여전히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급등 이후 투자 과열 심리가 단기 조정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결국, 시장의 핵심 변수는 ‘달러의 향방’이다. 만약 달러 약세가 지속된다면, 비트코인은 인플레이션 시대의 새로운 가치 저장 수단으로 더욱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반대로 달러가 회복세를 보일 경우,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다소 제한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은 현재 조정 국면에 있지만 거시 경제 환경과 제도권 자금 흐름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상승추세가 유지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시장의 관심은 이제 단기 조정을 지나, 다음 상승 사이클이 언제 재개될지에 세워져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