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하루 만에 4.2% 하락하며 12만 6,219달러(약 1억 7,541만 원)의 사상 최고가에서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이 조정은 전주 대비 12.5% 상승한 직후의 현상으로,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이를 예견된 흐름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 속에서도 기관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움직임과 파생상품 시장의 데이터를 통해 비트코인의 강세 추세가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이 여전히 탄탄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 현물 ETF로 유입된 자금은 지난주에만 35억 달러(약 4조 8,650억 원)에 달했으며, 이는 기관 수요가 다시 증가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지표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비트코인 보유량이 주요 거래소에서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상황과 연결되며, 이는 시장에 강한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실제로 거래소에 보유된 비트코인 양은 최근 5년 내 최저치를 기록하며, 장기 보유 중심의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도 건전한 개방형 미결제약정(OOI) 수치가 유지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트레이더들이 단기적인 조정보다는 중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에 더 큰 주목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1비트코인 당 15만 달러(약 2억 850만 원)라는 새로운 가격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조만간 이루어질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이 단순한 투기 자산으로 한정되지 않고,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을 헤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점차 자리 잡고 있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더불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를 표명하고, 친 크립토 정책을 고수하는 모습을 보인 점 또한 제도권에서의 새로운 수요 확대를 자극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미국 대선이 다가오면서 각 후보자들의 암호화폐 관련 정책이 투자심리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책 사례에 대한 기대감 또한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렇듯 비트코인이 일시적인 가격 조정을 겪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파생상품 흐름, 기관 자금 유입, 거래소 보유량 감소 등 다양한 지표들은 비트코인의 강세장 본질이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향후 주요 거시경제 이벤트 및 트럼프의 행보에 따라 비트코인의 방향성이 다시금 급속히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