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의 가격이 주요 지지선인 11만 5,800달러(약 1억 6,102만 원)를 하회하면서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걸쳐 투자자들이 리스크 회피에 나서고 있다. 최근 시장 분석에 따르면 파생상품 청산, 거래심리 위축, 알트코인 매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전체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5일(현지시간) 현재 비트코인은 장 초반 11만 2,722달러(약 1억 5,647만 원)까지 하락했으며, 이는 기존의 지지선이었던 11만 5,800달러를 이제는 저항선으로 전환시키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지난 3주 동안 유지되었던 박스권 하단이 무너진 것으로, 기술적 추세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지난해 고점인 12만 3,054달러(약 1억 7,096만 원) 대비 6.6%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심리적인 부담도 증가한 상황이다.
이번 하락세의 주요 원인은 레버리지 포지션 정리와 청산이다. 비트파이넥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및 고위험 알트코인에 자금을 집중 투자했던 트레이더들의 포지션이 청산되면서 시장 가격이 하락세로 이어졌다. 7월 28일부터 8월 2일까지의 기간 동안 시가총액 상위 10종을 제외한 알트코인들은 16.3% 급락했으며, 이로 인한 총 손실 가치는 약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현재 시장이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리스크 회피의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암호화폐는 예외적으로 가격 상승을 경험했다. 에테나(ENA)는 주간 기준 14% 상승했으며, 펏지펭귄(PENGU)은 8.4% 상승률을 기록해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역시 하락세가 재개되면서 각각 하루 사이 4.1%, 7.6% 하락해 지속적인 반등을 보여주지 못했다. 8월 2일 하루 동안 주요 거래소에서 약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됐으며, 대부분이 롱 포지션 투자자들의 것으로 분석됐다.
이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청산 현상을 시장 체력 회복을 위한 ‘정화 과정’으로 설명했지만, 여전히 시장의 변동성이 크고 극단적인 반응이 되풀이될 가능성도 높은 상황임을 경고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여전히 시가총액 2조 2,000억 달러(약 3,058조 원)를 기록하며 2021년 고점을 여유 있게 초과, 기관 중심의 안정적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단기적으로 비트코인은 과매도 구간에 따른 기술적 반등으로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를 회복한 상황이지만, ETF 자금 유입의 부족 및 연준의 긴축 기조 지속으로 인해 추가 하락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비트코인의 향후 움직임은 매수세의 재확인 및 ETF 자금 유입 여부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