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채굴 난이도가 사상 최대치인 134.7조를 기록하며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지난 금요일,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채굴 난이도는 이전의 129.6조에서 큰 폭으로 상승하며 처음으로 134조를 넘어서게 되었다. 이는 네트워크의 보안성과 채굴 난이도 간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수치이다.
채굴 난이도는 비트코인 블록이 일정한 주기로 생성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2주마다 조정된다. 난이도가 상승했다는 것은 블록 생성 과정이 더욱 치열해졌음을 의미하며, 이는 다수의 참여자 사이에서 경쟁이 심해진 결과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체 해시레이트(Hashrate)가 하락세를 보였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의 해시레이트는 약 9670억 해시/초로, 8월 4일에 기록한 1조 해시/초 대비 감소한 상황이다.
해시레이트가 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난이도가 증가한 이유는, 소규모 채굴자들이 시장에서 물러나는 과정에서 여전히 일정 수준의 연산력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트렌드가 대형 채굴업체들의 영향력이 보다 강조되었다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의 네트워크 탈중앙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채굴 지표의 변화가 비트코인 가격에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해시레이트와 채굴 난이도는 채굴자들의 비용 구조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장기적인 보유 전략이나 공급 조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기술적인 기반이 강화되고 있지만,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비트코인이 올해 연말에 정점을 찍을 거라는 전망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를 내비치고 있다.
이러한 채굴 지표의 단기적인 급변이 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도 빈번하게 발생해 왔기 때문에, 당분간 시장은 기술적 지표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 흐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시장의 기본적인 흐름을 간과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할 시점에 다다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