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탈중앙화 원칙이 제도권으로의 편입 과정에서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 초보자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 최근 코인가코(CoinGecko)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9%가 비트코인이 제도권에 편입됨으로써 본래의 탈중앙화 가치를 잃을 수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첫 번째 비트코인 시장 사이클을 경험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2025년 8월 22일부터 9월 11일 사이에 전 세계에서 2,54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0%는 현물 ETF 승인, 기업 회계에 비트코인 포함, 정부의 비트코인 매입 등의 제도권 채택 확대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 중 41.4%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응답하며, 비트코인의 신뢰성 상승과 장기적 가치 상승 가능성을 이유로 언급했다. 반면, 20.5%는 이러한 제도권 진입이 비트코인의 검열 저항성과 탈중앙화 원칙을 해칠 수 있다고 지적하며 반대 의견을 나타냈고, 이 가운데 12.7%는 “매우 부정적”, 7.8%는 “부정적”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특히 비트코인 시장 경험이 가장 짧은 ‘첫 사이클 참여자’의 29.3%가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으며, 이는 두 번째(14.9%) 및 세 번째 이상 사이클에 참여한 투자자들(15.7%)과 비교해 두 배 가까운 차이를 보인다. 첫 사이클 참여자 중 긍정적인 응답자는 52%에 그쳤으나, 두 번째와 세 번째 이상의 사이클에 참여한 투자자들은 각각 65.2%, 64.4%가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며 경험이 많을수록 제도권 수용에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험이 많은 투자자들이 제도권의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반면, 신규 참여자들은 비트코인이 헤지펀드 등 기존 금융 구조에 의해 변질될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현상이 투자 목적의 차이에서도 기인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즉, 신규 투자자 다수가 단기 수익을 목표로 하는 반면, 장기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의 기술적 진화와 시장 구조의 변화를 고려해왔다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의 68%는 장기 투자자였으며, 20%는 단기 트레이더로, 개발자는 7%, 나머지 5%는 시장 관망자였다. 경험적 관점에서는 첫 시장 사이클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38%, 두 번째 사이클의 경우 41%, 세 번째 이상의 시장 경험자는 21%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유럽이 31%로 가장 많았고, 아시아는 26%, 북미는 22%를 기록했으며, 나머지는 아프리카, 남미, 오세아니아 지역에 퍼져 있었다.
이번 코인가코 조사 결과는 비트코인의 정체성과 제도적 수용 간의 균형 문제라는 고질적 논쟁이 여전히 투자자들 사이에서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든지 간에, 투자자의 철학과 태도에 따라 비트코인 생태계는 각기 다른 경로를 걸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