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비트코인(BTC) 및 주요 알트코인의 가격 하락이 이어지면서 투자 심리가 7개월 만에 가장 저조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현재 시장에서는 암호화폐가 다시 ‘극심한 공포’ 구간에 진입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향후 조정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투자 심리를 나타내는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Crypto Fear & Greed Index)’는 현재 15포인트로, 이는 지난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수치이다.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투자자들의 공포가 극대화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20 이하일 경우 ‘극심한 공포’ 영역으로 분류된다. 특히 현재 수치는 미국의 무역관세 문제로 인해 BTC 가격이 7만 5,000달러 이하로 하락했었던 4월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당시보다도 낮은 수치로, 시장이 한층 더 위축되었음을 나타낸다.
트레이더 겸 분석가 비트콴트(BitQuant)는 “20 이하의 지수는 처음 본다. 개인 투자자들은 이미 시장에서 떠난 것 같다”며, 현재 대형 투자자나 기관만이 일부 남아 있다는 해석을 내놨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비트코인은 시가총액 2조 달러(약 2,000조 원) 규모를 유지하며 10만 달러(약 1억 원)선을 지키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들의 전반적인 심리는 그와 정반대로 흐르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서가 비트코인의 반등 전환점(intersection point)이 다가오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미국 정부의 셧다운 종료 이후 금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며 암호화폐와 주식 시장보다 상대적으로 더 주목받고 있다는 점도 현재 시장의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비트코인과 달리 실질 금 가격의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투자자들이 위험 자산을 회피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투자 심리 악화는 단순히 가격 하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경제와 정책 리스크, 그리고 시장의 과열 해소 과정 등 다양한 복합적 요인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 분석된다. 과거 시장이 극단적인 공포 국면에 진입했을 때 반등의 계기가 마련된 사례들이 존재하는 만큼, 향후 비트코인의 방향성 전환 여부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