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BTC)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더리움(ETH) 중심의 기업들이 신규 투자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이는 이더리움을 숏(매도) 포지션으로 활용해 비트코인에 대한 노출을 헤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10x리서치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현재 기관 자금이 비트코인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을 설명하며, 이더리움은 구조적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디지털 자산 금고’라는 내러티브 아래에서 기관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매입한 후, 일반 투자자들에게 더 높은 가격으로 재판매하는 구조가 있었지만, 이 메커니즘이 최근 들어 약화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트레저리 기업 비트마인(BitMine)의 사례를 통해 이와 같은 전략이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설명하였다. 기관 투자자들은 이더리움을 시장가에 매입한 후, 이를 프리미엄을 붙여 일반 투자자에게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해왔다. 이 과정은 이더리움의 가격 상승을 도왔으나, PIPE(비상장 지분 투자)의 불투명성과 자금 흐름의 불확실성 때문에 최근 그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이더리움의 가격은 하방 압력을 받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 현재 3,000달러(약 3,000만 원)선이 주요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지지선이 붕괴될 경우 2,700달러(약 2,700만 원)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이더리움이 시장에서의 포지셔닝을 재조정해야 할 때가 도래했음을 시사한다.
반면 비트코인은 여전히 기관들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자산 시장 내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이더리움에 대한 숏 포지션을 활용해 암호화폐 시장 내 변동성을 헤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요컨대, 비트코인으로의 자금 유입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더리움은 언급한 구조적 취약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투자 전략을 필요로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