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파생시장 롱 포지션 대규모 청산… 단 1시간 만에 187억 원 증발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시장에서 극단적인 변동성이 다시 한 번 드러났다. 최근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단 한 시간 만에 1,348만 달러(약 187억 원) 규모의 롱 포지션이 청산되며, 숏 포지션 청산 규모인 7,790달러(약 1,082만 원)를 크게 초과하는 상황이 전개됐다. 이로 인해 청산 비율 불균형이 17,300%에 달하며, 최근 몇 개월 중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놀라운 점은 이 대규모 롱 청산이 뚜렷한 하락세 없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당시 비트코인은 바이낸스 거래소에서 11만 9,500달러(약 1억 6,596만 원) 정도에서 거래되고 있었으며, 하루 고점인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에 가까운 가격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과도한 레버리지 베팅으로 인한 소폭의 가격 조정이 대량 청산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코인글래스(CoinGlass) 플랫폼의 데이터에 따르면, 청산 열기는 비트코인에 집중됐다. 이더리움(ETH)과 솔라나(SOL)의 청산 규모는 각각 312만 달러(약 43억 원)와 202만 달러(약 28억 원)로, 비트코인과 비교할 때 미미한 수준이었다. 트레이딩뷰(TradingView)의 히트맵 데이터에서도 비트코인의 청산 집중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4시간 단위로 시간 범위를 넓혀보면, 시장의 긴장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롱 포지션 청산 규모는 1억 2,680만 달러(약 1,761억 원)인 반면, 숏 포지션은 598만 달러(약 83억 원)로 롱 포지션에 더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일일 스케일에서는 양측의 청산 규모가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이날 1시간 동안의 변동성이 얼마나 극심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번 청산 사태는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의 기업인 스트래티지(Strategy)가 비트코인 155개를 추가 매수한 직후에 발생한 결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현재 스트래티지는 총 628,946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매입 단가는 개당 73,288달러(약 1억 184만 원)로, 총 매입액은 약 460억 9,000만 달러(약 6조 3,002억 원)로 추정된다. 현재 이들 비트코인의 평가 손익 기준으로 약 300억 달러(약 4조 1,700억 원)의 미실현 수익을 기록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과도한 시장 낙관론과 레버리지 투자자들의 무분별한 진입으로 인한 부작용을 경고하는 신호탄이다. 특히 세일러의 BTC 매수 발표 이후, 단기 FOMO(Fear of Missing Out)에 휩싸인 투자자들이 급격히 진입하면서 청산 유탄을 맞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한 전문가는 “현재 청산 데이터는 단기 투자자 심리가 지나치게 쏠려있다는 분명한 증거”라며 경고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단 한 번의 가격 반등이나 하락도 실현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번 청산 사태는 비트코인의 기술적 강세 흐름에 상관없이, 파생상품 투자자들의 심리적 민감도가 시장 리스크를 확대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포지션 관리가 더욱 필요할 시점에 놓여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