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가격이 급락하며 현재 1억 495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24시간 전보다 3.5% 하락한 수치로, 시장 전체에 걸쳐 심각한 변동성을 가져온 원인은 주요 고래 투자자가 약 2만 4천 BTC, 한화로는 약 2.7조원을 매도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약 1천억원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되었으며, 매도 압력이 단기적으로 집중된 상황이다.
이번 하락은 약 15조원(110억 달러)에 달하는 비트코인 옵션 만기와 맞물려 시장에 불확실성을 더욱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현재 중요 지지선으로 여겨지는 1억 500만원 전후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이 구간이 반등의 중요한 지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시장 분석가들은 “단기적으로 조정세가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급변은 오히려 건전한 시장 구조 강화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라며, “대규모 투자자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더리움(ETH) 역시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현재 가격은 594만원으로 24시간 기준으로는 4% 하락했지만, 최근 30일 동안에는 17% 이상 상승했다. 기관 자금의 유입이 이더리움 ETF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달에만 1.2조원이 유입되어 ETH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디플레이션 메커니즘과 스테이킹 수익률 또한 ETH의 가격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리플(XRP)는 현재 3,855원으로 5.7% 하락 중이다. 하지만 지난 몇 주간 규제 관련 진전을 바탕으로 최대 30% 가까운 급등을 경험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의 SEC와 CFTC의 규제 입장 정리, 그리고 유럽연합의 MiCA(암호화폐 시장 규제) 도입 등이 XRP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솔라나(SOL)는 현재 27만 9천원에 거래되며, ETF 출시 기대감과 기술적 확장성을 부각하고 있다. 높은 처리량과 낮은 거래 비용은 기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SOL의 채택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SOL을 DeFi 분야의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게 하고 있으며, 분석가들은 상승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2025년을 앞두고, 미국의 친 암호화폐 정책 변화(예: 401(k) 포함 승인 및 암호화폐 은행 명확화)와 글로벌 규제 조율의 진행은 시장 유동성과 구조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정책, 고용 및 관세 이슈와 같은 거시경제 변수는 여전히 시장 변동성의 주요 요인으로 남아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상황에 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