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1.2% 하락하며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파이코인(PI)은 하루 만에 15% 급등해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FOMC의 금리 결정이 임박한 시점에서 비트코인과 주요 암호화폐는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파이코인과 같은 일부 종목들은 비슷한 시기에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지난 27일 비트코인은 11만 6,000달러를 돌파하며 반등세를 보였지만, 그 이후 하락 전환해 11만 2,300달러(약 1억 5,427만 원)까지 떨어졌다. 현재 비트코인은 약 11만 3,000달러(약 1억 5,540만 원) 수준에 머무르며 하루 기준 1.2%의 하락폭을 기록하고 있다. 연준의 금리 발표를 앞두고 비트코인은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어 향후 시장 흐름이 갈림길에 서있음을 나타낸다.
암호화폐 시장의 긴장감은 FOMC 회의에서 0.25%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 보임에 따라 더욱 증폭되고 있다. 미국의 예측시장 플랫폼인 폴리마켓(Polymarket)에 따르면, 0.25% 인하가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트코인은 12만 달러를 넘어설 수 있는 한편, 반대로 10만 달러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 역시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위험자산인 암호화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어 이번 FOMC의 결정은 시장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현재 약 2조 2,500억 달러(약 3,080조 원)로 감소하였으며,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9%를 유지하고 있다. 이더리움(ETH) 또한 4,000달러 아래로 하락하며 3% 감소하였고, 솔라나(SOL), 에테나(ENA), 수이(SUI), 헤데라(HBAR) 등의 주요 알트코인 역시 4~7% 사이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파이코인은 이날 15% 급등하여 0.26달러(약 345원)를 기록하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파이코인의 가격 상승은 최근 플랫폼 내부 정책 변화와 커뮤니티 확장 덕분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는 파이네트워크(Pi Network) 내의 활동이 활발해졌음을 나타내며, 투자자들의 의욕을 고취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덧붙여, 트럼프(TRUMP) 토큰은 13%, 미스터리 토큰 M은 4% 상승세를 보이는 등의 움직임도 있었다. 이날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은 전일 대비 1.7% 감소한 약 3조 8,800억 달러(약 5,308조 원) 수준으로 집계되었다.
현재 시장은 연준의 정책 발표를 주목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미국의 금리 정책은 암호화폐 가격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 왔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과 그에 따른 발언들이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반영하며 트럼프 관련 토큰의 가격 상승을 이끄는 경향도 관찰된다. 향후 FOMC 결과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의 방향성이 뚜렷하게 나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