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해시파워 집중, XRP 레저의 불변성 강조

[email protected]



최근 비트코인(BTC)의 채굴 해시파워가 특정 기업에 집중되면서, 탈중앙화의 본질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채굴풀인 ‘파운드리 USA(Foundry USA)’가 연속으로 8개의 블록을 채굴하면서, 특정 기업의 해시파워 집중이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이 다시금 부각됐다. 이에 대해 XRP 레저의 검증인인 Vet은 비트코인의 중앙화 위험이 설계 구조에서 비롯된 문제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Vet은 비트코인과 같은 나카모토형 체인은 작업증명(PoW)이나 지분증명(PoS) 방식 모두 특정 조건 하에 블록을 되돌릴 수 있는 체인 재편성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되감기’ 기능이 암묵적으로 허용되며, 경제적 인센티브가 이를 억제해줄 수 있지만, 다수의 채굴자나 검증자가 담합할 경우 체인 변경이 가능한 구조라고 경고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Vet은 XRP 레저(XRPL)의 ‘최종성(finality)’ 특성을 강조했다. XRP에서는 한 번 확정된 트랜잭션은 되돌릴 수 없으며, 이는 NFT, 게임, 결제 애플리케이션 등 실시간 자산 이전이 이루어지는 분야에서 중요한 신뢰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XRPL의 공동 창립자들은 이러한 ‘재편성 불가’ 설계가 XRP의 기술적 주춧돌이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설명해왔다.

시장의 구조를 살펴보면 비트코인이 전체 암호화폐에서 약 59%의 점유율을 유지하며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Vet은 “잠재적 출구가 있는 체인은 진정한 결제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XRPL이 단순한 저비용과 빠른 대안이 아닌, 전혀 다른 설계 철학을 가진 플랫폼임을 강조했다.

해시파워 집중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만약 여러 채굴풀이 파운드리처럼 강력한 블록 생성 지속성을 유지할 경우, 블록체인의 공정성과 보안성에 대한 신뢰가 심각하게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Vet의 발언은 단지 기술적인 차이에 대한 설명을 넘어, 블록체인 운영의 실질적인 위험성을 경고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암호화폐의 핵심 사용 사례가 확장됨에 따라, 거래의 불가역성 및 체인의 불변성은 더욱 중요한 가치로 대두되고 있다. 이번 논란은 기술적인 비교에 그치지 않고, 블록체인의 미래 방향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설계 철학에 대한 심도 있는 논쟁을 촉발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비트코인 해시파워의 집중 문제는 단순한 기술적 이슈에 그치지 않고, 전체 암호화폐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