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비트코인의 가격이 2013년 초 이후 600,000% 이상 상승하며, 비트코인 홀더들에게 예상치 못한 금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함께 부유세 도입에 대한 논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트코인을 포함한 자산에 대한 과세 방침이 바뀔 가능성에 대해 경계해야 할 시점이 됐다.
부유세는 개인의 총 순자산—현금, 투자, 부동산 등—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자산이 실제로 팔리거나 소득을 창출하더라도 관계없이 매년 세금이 부과된다. 이 세금의 도입은 주로 초고소득층을 겨냥하여 공공재원을 증대시키고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최근 프랑스 상원의원인 실비 베르메이예가 비트코인을 ‘비생산적인 자산’으로 분류하자, 비트코인에 대한 연간 세금 부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다른 국가들도 비슷한 조치를 고민할 수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등 유럽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부유세와 달리, 미국, 호주, 프랑스 등 주요 경제국은 한동안 이를 기피해왔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보여준 기하급수적 상승에 영향을 받아 국가들이 부유세를 다시 검토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비트코인 자체의 실질적 가치가 인정받고 있는 만큼, 이로 인해 막대한 세수를 창출할 기회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영국처럼 세금이 높은 국가들에서는 자산가들이 세금 부담을 피하기 위해 탈세를 선택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실제로 고액 자산가들이 세금이 유리한 두바이로 이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부유세가 도입될 경우, 그로 인해 국가들이 고액 자산가들을 잃을 위험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국가들이 비트코인 및 기타 자산의 미실현 이익에 대한 과세를 추진할 경우, 이들과의 적대적 관계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위한 행정명령을 서명한 것은 비트코인 홀딩(홀드) 전략을 강조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같은 정책은 다른 국가들에서도 유사한 과세 도입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세계 각국의 세금 정책이 변화하는 가운데, 비트코인 홀더들은 세금 당국의 주목을 받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 홀더들이 부유세 문제를 정치적 논의의 중요한 주제로 만들어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진정한 정책 변화가 생길지는 미지수지만, 이 사안은 단지 정부의 정치적 공세로 끝날 가능성도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트코인 홀더들의 동향과 관련 법안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