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억5711만원으로 하락…이더리움 및 리플 하락폭 확대

[email protected]



8월 3일 오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113,110.04달러, 한화로 약 1억 5,711만 3,240.29원에 거래되며 하루 전보다 0.4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7일 동안 비트코인은 4.25% 하락하며 중기 단위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30일 기준으로는 오히려 3.25% 상승세를 기록했다. 또한, 60일과 90일 기준의 상승률은 각각 7.06%와 20.43%로 집계돼 중장기적인 지지력은 여전히 강한 상태다. 그러나 24시간 거래량이 30% 이상 감소하며 (-30.96%) 단기 매수심리는 위축되고 있다. 비트코인의 시세가 마켓 점유율의 61.7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약보합 흐름은 시장의 방향성을 상실했음을 나타내며, 전체 투자자 심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더리움 또한 최근 상승세에 따른 단기 조정 기조를 피하지 못했다. 현재 가격은 3,416.70달러(약 474만 5,892.54원)로, 24시간 변동률은 -2.81%로 집계된다. 이더리움은 지난 30일 동안 31.87%, 90일 동안 90.72% 급등했으나, 최근 7일간 하락폭이 -9.12%에 달하는 등 조정을 겪고 있다. 더욱이 거래량이 -29.54% 감소하면서 이더리움 관련 암호화폐의 시세도 단기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반면, 리플은 상대적으로 더욱 큰 하락폭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가격은 2.80달러(약 3,882.71원)로, 하루 동안 무려 -6.08% 하락했다. 7일간의 하락세는 -12.38%에 이르며, 30일 기준으로는 23.61% 상승세를 보였지만 단기적인 수급 약화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리플은 뉴스보다 가격 기술적 흐름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변화는 암호화폐 가격 전반에 대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바이비트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시장 내 전체 531개의 주요 파생상품 포지션 중 445개가 손실 구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수익 구간은 75개에 불과하다. 손실 포지션의 비율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파생상품 시장의 단기 심리는 분명한 위험 회피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더리움과 같은 종목이 90일 이상 90%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음에도 단기 조정으로 인해 많은 롱포지션이 포기되거나 청산되는 흐름이 관찰된다. 리플 또한 단기적인 낙폭을 기록하며 포지션 내에서 불리한 영향을 받고 있다.

전반적으로 주요 암호화폐들의 수익 구간 비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장중 파생상품 투자자들의 심리를 냉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분위기 속에서 암호화폐 시장은 다시 지지선 탐색과 추가 뉴스에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특히 이더리움은 3,400달러 이상의 견고함을 유지하고 있으며, 기관 투자자의 활발한 매수가 이어지는 가운데, 장기적인 상승 기대감이 여전히 높다. 마이크 노보그라츠 Galaxy Digital CEO는 “2025년 말까지 이더리움이 4,000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며 강세 전망을 다시 한번 제시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이더리움은 기술적 변동성과 보유자 간의 상반된 전략 속에서도 꾸준한 매수세와 상승 기대감을 유지하고 있으며, 리플은 단기적인 가격 압력의 영향을 받고 있어 시장 주도권의 차별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