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3일 오후 기준으로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현재 1개당 115,677.41달러, 즉 1억6,012만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 24시간 동안 2.37% 상승한 모습이다. 그러나 최근 7일 동안 -1.52%의 소폭 하락세를 보였고, 30일 간에도 -1.57%의 조정 국면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단기적으로 비트코인이 횡보 또는 박스권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반면, 중기적으로는 60일 변동률 9.35%, 90일 변동률 7.27%로 완만한 우상향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분석도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더리움은 지난 24시간 동안 10.43% 급등하며 시장 내에서 가장 두드러진 상승세를 기록했다. 현재의 이더리움 가격은 4,745.17달러, 즉 약 656만8,263원으로, 7일 동안 7.19%, 30일 동안 34.3%, 60일 동안은 무려 95.27% 상승하며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과는 달리 시장 주도적으로 상승세를 이끌고 있는 암호화폐로서의 위상을 잘 보여준다. 또한, 대규모 거래량이 수반되면서 단기 강세장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더리움은 최근 한 달간 전반적인 암호화폐 가격 조정 속에서도 특유의 스마트 계약 기반 생태계 확장성과 탈중앙화 금융(DeFi) 수요 회복으로 인해 상승폭을 키웠다.
리플 또한 최근 24시간 동안 7.3% 상승하며 단기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리플의 가격은 3.06달러, 즉 약 4,236.73원으로, 30일 동안은 1.77% 상승에 그쳤지만, 60일 기준으로는 39.45%, 90일 기준으로는 32%로 비교적 강한 중기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7일 간의 변동률은 -1.58%로 여전히 변동성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는 리플의 불확실한 거버넌스 및 법적 환경 변수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리플은 현재 단기 조정을 겪으며 시장 내 지위를 재정립하고 있는 구간으로 해석된다.
바이비트에서 제공하는 포지션 수익 분포에 따르면, 현재 수익을 보고 있는 포지션 보유자는 470명으로 나타났으며, 손실을 보고 있는 참여자는 43명, 변동이 없는 구간은 9명이다. 이는 전체적으로 현재 시장 분위기가 낙관적인 심리를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익권에 위치한 포지션 보유자가 손실 구간에 비해 10배 이상 많다는 점은 지금의 암호화폐 가격이 반등 또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이더리움의 강한 상승세는 파생상품 시장의 포지션 분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더리움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매수 포지션에 들어간 투자자들이 수익 영역으로 진입하게 되어 전체 시장의 심리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수익 포지션 비중의 확대는 단기적으로는 추가 상승을 기대하는 세력의 유입을 유도하며, 이는 비트코인과 리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리플의 경우 최근 시세는 다소 부진했으나, 파생상품 시장 내 포지션 정렬은 가격 방향 전환에 대한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이와 함께 이더리움은 기관 투자자들의 수요와 ETF 자금 유입에 힘입어 8월 23일 사상 최고가인 4,879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연준의 파월 의장이 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