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0만 5,000달러 지지선이 마지막 보루로 떠오를까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은 최근의 조정국면에서 11만 1,000달러(약 1억 5,429만 원)까지 하락하며, 시장의 관심은 10만 5,000달러(약 1억 4,595만 원) 지지선으로 집중되고 있다. 이 지지선이 단순한 가격대가 아닌 구조적인 지지선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최신 리포트에 따르면, 투자자들의 지갑 보유 패턴은 비트코인 가격 하락기에 다양한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소액 보유자인 0~0.1 BTC 구간에 해당하는 지갑은 단기 고점에서 매도 후, 하락을 겪고 다시 재매수에 나선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지만, 시장을 주도하기보다는 따르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0.1~1 BTC를 보유한 지갑은 역사적인 최고가에서 매수를 지속했고, 1~10 BTC 보유자 역시 10만 7,000달러(약 1억 4,883만 원) 부근에서 매도를 중단하며 재축적에 들어갔다. 10~100 BTC 구간의 투자자들은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까지는 매집을 이어갔으나, 이후 매도세로 전환하는 경향이 보였다. 특히 100~1,000 BTC를 보유한 중대형 투자자들은 10만 5,000달러 선에서 매수와 매도를 반복하며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크립토퀀트는 10만 5,000달러 지지선이 비트코인이 안착해야 할 ‘마지막 보루’라는 평가를 내렸다. 만약 이 가격대가 무너지면 투자자들 사이에 공포감이 확산되어 다시 한 번 하락세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미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약세 국면이 반영되며, 과도하게 레버리지를 사용한 투자자들이 청산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하룻동안 약 3억 달러(약 4,170억 원) 규모의 롱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었다. 이는 주요 거래소에서 강제 매도가 연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오픈이자율(Open Interest)이 급감하게 만들었고, 바이낸스에서는 누적 순 테이커 거래량이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까지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롱 스퀴즈를 시장 구조의 ‘건전한 재정비’로 보며, 레버리지가 줄어들고 과열된 투기 수요도 어느 정도 정리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포지션 구조가 상승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투기적 과열이 해소된 이후의 시장은 보다 견고한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큰 시장 상황에 진입하며 신중한 거래가 필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10만 5,000달러의 지지선이 유지될 수 있을지에 대한 여부와 다시 상승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은 향후 투자자들의 중대한 결정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