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단 10일 만에 약 3만 2,000달러(약 4,448만 원) 급락하며 신규 역사적 고점 이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급락의 원인을 정치적 불확실성과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 등 4가지 주요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첫 번째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비트코인 시장에 미친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경고를 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극에 달했다. 트럼프는 중국의 정보 불투명성을 문제 삼아 압박을 강화했고, 시장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비트코인 가격이 12만 2,000달러(약 1억 6,958만 원)에서 몇 시간 만에 11만 7,000달러(약 1억 6,263만 원) 아래로 떨어졌다. 이러한 급락은 과도한 레버리지 상황에서 선물 포지션의 연쇄 청산을 초래, 일부 거래소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10만 1,000달러(약 1억 4,039만 원)까지 하락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두 번째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지속적인 긴장감이 투자 심리를 더욱 위축시켰다. 트럼프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을 가진 후,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협의에서 미국산 토마호크 미사일 제공이 거절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러한 지정학적 불확실성은 비트코인 시장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현재 이어지고 있는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 상황 또한 추가적인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 번째로 미국 은행권의 신뢰 위기가 더해졌다. 자이언스 뱅크(Zions Bancorp)가 캘리포니아 지역 상업 대출과 관련한 5,000만 달러(약 696억 원) 손실을 공시하였고, 웨스턴 얼라이언스 은행(Western Alliance) 또한 채무자에 대한 사기 소송을 제기했다. 이러한 소식에 아시아와 유럽의 주요 은행들까지 주가가 하락하며 금융 시장의 긴장감이 확대되었다.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은 비트코인의 장기적인 설득력을 강화할 수 있으나, 현재 단기적으로는 유동성 공포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의 대규모 자금 유출도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올 초 60억 달러(약 8조 3,400억 원)에 달했던 ETF 자금 유입이 최근 일주일 사이에만 12억 달러(약 1조 6,680억 원) 이상 유출되면서, 비트코인 시장에 심각한 하방 압력을 가했다. 특히 지난 목요일 하루에만 5억 3,000만 달러(약 7,367억 원)의 대규모 자금 이탈이 있었고,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 부정적 심리를 더욱 심화시켰다.
세계적인 불안감 속에서 금 가격은 사상 최고치인 온스당 4,400달러(약 612만 원)를 기록하며 안전한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다. 반면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라는 위치가 약화되며 비관론자들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신뢰 자산으로 자리 잡지 못한 과제가 남아 있어, 향후 시장의 방향성은 글로벌 정치와 금융 안정성, 그리고 기관 자금의 흐름에 크게 의존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