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1만 달러 회복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하락 위험과 고래 매도 신호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가격이 최근 급락 상황에서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선에서 지지선을 되찾았으나, 여전히 추가 하락의 위험이 감지되고 있다. 현재 시장 모멘텀이 매도세로 기울어져 있어 투자자들의 투매 가능성이 크게 우려되고 있다.

일별 차트를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최근에 고점이었던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이상에서 반등을 시도했다가 실패하며 주요 지지 채널을 하향 이탈하면서 새로운 저점을 형성하였다. 현재 11만 달러 근처에서 단기적인 지지를 받고 있지만, 강한 반등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적 지표인 RSI(Relative Strength Index)는 50 아래를 지속하며 단기 추세는 여전히 하방으로 유지되고 있어, 심리적 지지선인 10만 달러(약 1억 3,900만 원)로 추가 하락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4시간봉 차트를 분석하면 기존 하방 추세 채널이 더욱 뚜렷하게 확인되며, 비트코인은 계속해서 저점과 고점을 낮추는 하락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11만 달러 아래로 잠시 가격이 하락했다가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RSI의 지속적인 하락 에너지는 가격이 단기적으로 10만 4,000달러(약 1억 4,456만 원) 페어밸류 갭 구간까지 내려갈 가능성을 시사한다. 상황이 악화될 경우 10만 달러 선까지도 밀릴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온체인 데이터에서도 불안 요소가 포착되고 있는데, 특히 거래소 고래 비율(Exchange Whale Ratio)의 30일 이동평균이 최근 가파르게 상승한 점이 눈에 띈다. 이 지표는 대량 보유 투자자(고래)의 거래소 입금 비중을 나타내며, 해당 수치가 증가할수록 고래들이 실현 매도를 위해 자산을 이동시키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는 대체로 매도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래들의 매도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불안정한 시장 상황에서 비트코인이 단기 내 11만 달러 이상에서 의미 있는 반등을 보이지 않거나 RSI가 상승세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추가 하락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있다. 반면, 강력한 매수세가 유입되어 가격이 차트 상으로 반등할 경우, 하방 위험은 일정 부분 완충될 수 있다.

결국 비트코인의 가격 안정성은 여전히 불확실성 속에 놓여 있으며, 시장의 회복 여부는 기술적 저항을 돌파할 수 있느냐와 고래 지표의 향후 움직임에 크게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비트코인 시장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매우 중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