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1만 4,000달러 돌파…연준 발언과 테더 논란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다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 발표 이후 11만 4,000달러에 도달하며 암호화폐 시장에서 눈에 띄는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동시에 게임스톱($GME) 주식의 부활과 테더(USDT)에 대한 투명성 논란이 제기되면서 이번 주 시장의 핵심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인 샌티멘트(Santiment)는 현재 비트코인의 급등, 게임스톱 주식에 대한 투자 열풍, 테더의 준비금 논란 등 세 가지가 소셜미디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투자자들의 심리는 단기적 흐름을 넘어 시장 전반의 방향성을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샌티멘트의 집계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지난 10월 21일 10만 9,000달러에서 11만 4,000달러까지 급증했다. 이는 연준이 암호화폐 기업에게 자사 결제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언급한 직후의 일로, 금에서 비트코인으로 자산을 전환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블룸버그는 또한 비트코인 고래들이 미국 상장 ETF에 비트코인을 환전하는 흐름을 공개했으며, 블랙록(BlackRock)의 비트코인 ETF ‘IBIT’은 이미 30억 달러 이상의 비트코인을 유입받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2조 1,600억 달러로 1년 전에 비해 60%가량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7일 동안 4.4% 하락하여 10만 8,000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 외에도 게임스톱은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샌티멘트는 투자자들이 게임스톱을 포함하여 AMC, 비욘드미트($BYND)와 같은 공매도 비중이 높은 종목들과 비교하며 새로운 숏 스퀴즈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비록 게임스톱은 암호화폐 토큰이 아니지만, 밈 주식의 투자 열기는 밈 코인과 유사한 투자 문화를 공유하고 있어 두 시장 간의 상관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한편, 체인링크(LINK)는 최근 연준에서 개최한 ‘결제 혁신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전통 금융과 디파이(DeFi) 간의 연결 기술을 소개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더리움(ETH) 역시 거버넌스 문제로 다시 논란이 되며 관심을 끌고 있다. 폴리곤(MATIC)의 공동 창립자인 산디프 네일왈(Sandeep Nailwal)은 이더리움 재단 내의 ‘엘리트 중심 구조’를 공개적으로 비판했으며,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이를 긍정적으로 응답하면서 상황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더리움의 현재 거래가는 약 3,846달러로, 최근 2주간 14% 이상 하락한 상태이다.

또한, 테더는 최근 스테이블코인 사용자 수가 5억 명을 넘어섰으나 자산 구성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테더가 비트코인 보유를 확대하고 테더골드(XAUT)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지만, 일부 투자자는 회사의 실제 자산 내역이 불확실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카데나(Kadena) 블록체인이 운영 중단을 선언하면서 중소 시가총액 프로젝트들의 리스크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이번 발표 이후 KDA 토큰은 단 몇 시간 만에 60% 가까이 하락해 0.086달러까지 내려갔으며, 내부 인사의 매도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투자자 신뢰도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번 주 암호화폐 시장은 정책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