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현재 1코인당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에서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사이의 폭에서 머물며 변동성이 낮은 국면을 지속하고 있다. 시장의 명확한 방향성이 없는 상황에서 일부 트레이더들은 단기 조정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일일 차트를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매수와 매도 압력 간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으나 RSI 지표에서 하락 다이버전스의 신호가 나타남에 따라 상승의 동력 자체가 약해지는 경향이 보인다. 이에 따라 수급 균형이 깨질 경우 비트코인의 가격이 11만 1,000달러(약 1억 5,429만 원) 지지선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 가격대가 강력한 수요 지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면, 이후 12만 달러 돌파의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의견이 있다.
4시간봉 차트에서 비트코인은 상승 추세 내에서 전형적인 조정 패턴인 ‘불리시 플래그’를 형성하고 있다. 이 패턴 안에서 가격이 점차 고점과 저점을 높이고 있으며,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의 상승 추세선이 중요한 지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추세선이 유지되는 한, 현재의 조정은 건강한 잠재적 매수 기회를 제공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 이 선이 무너지게 되면 시장은 다시 11만 1,000달러 지점으로 신속하게 하락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온체인 지표 또한 흥미로운 세부 사항을 제공한다. 최근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는 소규모 투자자들의 포지션이 급증하고 있어 일반 리테일 투자자들의 활발한 참여를 반영한다. 하지만, 기관 투자자나 고래들이 대량 매도에 나선 흔적은 적어, 대형 투자자들이 중장기적으로 여전히 강세 기조를 유지하고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체기가 단기적인 ‘숨 고르기’ 단계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리테일 수요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대량 매도세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는 다시 한 번 고점을 향한 상승 랠리의 서막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11만 1,000달러 지지가 유지된다면 매수세가 활발히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위기와 기회의 경계선에 서 있는 상황이다. 투자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속적인 지지선 유지 여부와, 이를 바탕으로 한 향후 상승 파동의 유효성에 대해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다. 단기 하락 리스크와 잠재적 반등의 기로에 있는 시장은 조만간 명확한 시그널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