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은 2025년 4분기에 최대의 ‘페이크아웃’ 흐름을 보이며 시장의 기대심리가 급격하게 꺾였다. 본래 단기 상승세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었으나, 주요 저항선 돌파에 실패한 후 급락세가 지속되고 있어 향후 전망이 더욱 불확실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비트코인은 50일 이동평균선(EMA)을 상향 돌파해 12만 5,000달러(약 1억 7,375만 원) 재도전을 시도했으나,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 근처에서 저항을 만나 하락세로 반전했다. 특히, 8월 말부터 강력한 저항선 역할을 하던 11만 5,500~11만 6,000달러 구간에서 하락 캔들이 연속적으로 생성되면서 상승 모멘텀이 급격히 약화됐다.
이후 매도세가 폭탄처럼 터지며 비트코인은 현재 50일 EMA 아래로 밀려났고, 기술적으로는 200일 EMA가 위치한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 부근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100일 EMA와 200일 EMA 사이의 변동성 압축 구간에 갇혀 있어, 방향성이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박스권의 움직임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장 기술 지표들은 성격의 심각성을 더욱 뒷받침하고 있다. 대표적인 모멘텀 지표인 RSI는 현재 42선에 머물러 있어 매수세가 명백히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최근 거래량도 급격히 감소하여 투자자들이 신중한 관망세로 전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우려되는 점은 비트코인이 10만~10만 8,000달러(약 1억 3,900만~1억 5,012만 원)의 중요한 지지선을 하회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심리적 붕괴다. 이 지지선이 무너지면 대규모 청산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며, 낙폭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반전 가능성을 단순히 간과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만약 비트코인이 다시 50일 EMA를 상향 돌파하고 매수세 유입에 성공한다면, 다시금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이상으로 상승할 기회를 노릴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조정은 단순한 강세장의 일시적인 조정이 아닌, 구조적 불안정성을 경고하는 신호로도 해석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이번 상황은 비트코인이 강한 상승 흐름 속에서도 언제든지 급변할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들에게 상기시켰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기술적 지표와 주요 지지선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