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2만 달러 돌파 이후 상승 추세는 유동성에 영향 받을 것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이 최근 12만 500달러(약 1억 6,750만 원)라는 단기 목표를 넘어섰고, 이로 인해 시장의 관심은 이제 유동성이 향후 가격 변화에 미칠 영향에 집중되고 있다. 가격 상승 모멘텀이 강해지고 있지만, 이를 지속적으로 성장세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성장과 함께 유동성 구조가 중요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온체인 분석 기업인 스위스블록(Swissblock)은 최근 보고서에서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시작 단계에 접어들었으나, 향후 움직임은 유동성과의 관계에 의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비트코인의 온체인 네트워크 성장률은 약 82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나, 유동성 지표는 52에 머물러 중간 단계에 있다. 스위스블록의 자회사인 비트코인 벡터(Bitcoin Vector)는 이러한 조합이 과거 분석들을 기반으로 추가 상승 가능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유동성이 50~60으로 향상될 경우, 비트코인이 다음 가격 상승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연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유동성이 40 이하로 하락하여 네트워크 성장률만 높아진다면 이는 고점 형성과 급락을 예고하는 ‘후기 국면’ 신호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트코인 벡터는 “역사적인 최고가 재돌파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지속적인 가격 발견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유동성 흐름이 핵심 변수라고 밝혔다.

또한, 투자사 QCP 캐피털은 비트코인과 미국 주식 간의 상관관계가 지난 7월 중순 이후 강화되었다고 언급했다. 최근 미국의 고용지표 발표 후 증시가 반등함에 따라 비트코인도 이전의 하락세를 만회했다. 특히 이더리움(ETH)의 주요 상승이 돋보였고, 지난 1주일 동안 21%가 상승하여 4,300달러(약 598만 원)를 돌파했다. 이는 2021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시장 주요 참여자들은 오는 8월 12일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CPI의 상승률이 2.8%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예상보다 낮은 수치가 나올 경우 9월에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QCP는 “연준 위원회가 비둘기파적 발언을 이어가고 있으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거의 확정적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변동성이 높은 전면 옵션 시장에서 11만 5,000달러(약 1억 6,000만 원)~11만 8,000달러(약 1억 6,400만 원) 두 영역에서 풋옵션 수요가 증가하는 배경에는 CPI 발표 전 포지션 정리를 위해 움직이는 트레이더들의 행동이 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비트코인 현물 ETF 자금 유입과 기관 투자 수요의 동향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래 지갑의 대량 매도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큰 변동성 없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어, 이는 구조적 강세장이 여전히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QCP 캐피털은 “비트코인이 주요 저항선을突破하지 못하고 횡보하더라도, 단기 고점 매도 압력은 CPI 발표 이후 다소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앞으로의 주요 이벤트로는 8월 12일 예정된 미국 CPI, 14일의 생산자물가지수(PPI) 및 실업수당 청구 건수, 그리고 15일의 소매판매 지표 발표가 있다. 이들 지표 결과에 따라 비트코인의 유동성 흐름과 가격 궤적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 비트코인이 새로운 가격 발견 구간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가격 상승을 넘어 유동성을 바탕으로 한 구조적 강세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