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2만 달러 돌파 후 6% 하락…강제 청산 규모 7,645억 원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가격이 최근 역사적 최고점인 12만 4,300달러를 기록한 뒤 6% 가량 하락하면서 시장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5,300달러(약 1억 6,027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단기 급등 이후 조정 흐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가격하락과 함께 대량의 강제 청산, 고점 근처에서의 매물 압박, 그리고 정책적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어제 하루 이내에 약 13만 1,000명의 트레이더가 5억 5,000만 달러(약 7,645억 원) 규모의 포지션에서 강제 청산을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비트멕스(BitMEX)에서 발생한 단일 포지션 청산은 780만 달러(약 108억 원)에 달했으며, 이는 시장 내에서 레버리지 비중이 매우 높은 상황임을 나타낸다. 또한 현재 남아 있는 숏 포지션 규모는 60억 달러(약 8조 3,400억 원)를 넘어서며, 추가적인 급등이 발생할 경우 위험한 숏 스퀴즈가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단기 보유자(STH) 비중은 여전히 47%로 유지되고 있으며, 지난 30일간 자산 이동은 “0”에 머물러 있어 의미 있는 매도세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 분석가 악셀 애들러 주니어는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장 가치의 흐름이 정체된 상태에서는 크고 강한 조정보다는 재정비 또는 횡보 흐름이 예상된다”고 해석했다. 그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균형 구간(equilibrium regime)’으로 묘사하면서, 고점 근처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과열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공급과 수요 간의 엇갈린 신호도 동시에 등장하고 있다. 매도자 소진 상수(Seller Exhaustion Constant)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이는 단기적인 매도 압력의 지속 가능성을 나타낸다. 과거 베어마켓 저점 때의 패턴과 유사해, 향후 가격 반전의 핵심 단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분석기관인 온체인 콜리지(On-Chain College)에서는 현재의 MVRV 비율이 역사적 주기 고점과 비교해 상당히 낮은 수준임을 지적하며, “현재 수준에서 비트코인의 고점을 논하는 것은 통계적으로 신뢰성이 낮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중에 시장은 다가오는 주요 이벤트에 주목하고 있다. 잭슨홀 경제 심포지엄에서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과 함께 공개될 연방준비제도 회의록에 따라 시장이 크게 요동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의 회담도 예정되어 있어, 지정학적 변수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더욱 클 수 있는 시점이기도 하다.

한편, 최근 ‘코인베이스 프리미엄(Coinbase Premium)’은 최근 한 달 내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이는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대형 기관이나 큰 자산 보유자들이 비트코인을 조용히 매집하고 있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마이클 세일러가 매일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있다거나, 대규모 기관 매수세가 곧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되었다.

마지막으로, 트레이딩 지표인 21일 이동평균선에서 비트코인이 지지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장기 상승 구조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는 급격한 상승보다는 단기 조정 또는 횡보 흐름이 우세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

Leave a Comment